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제23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비대면 환경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Learner's Perception of Good Classes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COVID-19 이후 비대면 교수-학습 상황에서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 K 대학의 학생들이 비대면 환경에서 경험한 수업에 대한 내용을 작성한 에세이 154편을 분석하였다. 좋은 수업을 분석하기 위한 틀은 대분류, 세부 영역, 하위 요소로 제시하였으며, 대분류는 교수자, 수업 운영, 수업 효과로 구분하였다. 대분류 중 교수자의 경우, 개인 특성과 교수 실행 능력으로 세부 영역을 구분하였으며, 수업 운영의 경우, 도입, 전개, 결말로 세부 영역을 구분하였다. 수업 효과의 경우,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세부 영역에 대한 정의 및 하위 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틀을 토대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비대면 환경에서의 좋은 수업의 특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 측면에서는 교수실행 능력을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비대면 환경이라는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수자가 학습내용을 얼마만큼 잘 전달하고, 교수매체 등 화상강의시스템을 조절하여 원활한 수업이 잘 진행되기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수업 운영 측면에서는 수업 내에서 풍부한 자료를 사용하고, 학습활동을 유도하는 등의 다채로운 교수-학습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전개 단계가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수업 효과 측면에서는 수업에 대한 흥미와 가치관이 변화되는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즉, 인지적 측면의 지식 이해나 사고력 향상도 중요하지만 내면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비대면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특성과 조건들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좋은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차이와 대면과 비대면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비교 연구 등을 후속연구로 확대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good classes perceived by learners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and to explore ways to increase effectiveness in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situations after COVID-19. For this purpose, 154 essays written on the lessons experienced by students of K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buk-do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were analyzed. The analysis framework for good class was categorized into instructor, class operation, and class effec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structor, the ability to execute instruction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It is analyzed that in the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situation, the instructor expects how well the teacher delivers the learning content and controls the video lecture system such as the teaching medium for smooth class progress. Second, in terms of class operation, the development stage in which various teaching-learning interactions such as the use of abundant materials in class and inducing learning activities was analyzed as an important factor. Third, in terms of class effectiveness, classes in which the interest and values of class change were perceived as good classes. In other words, although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knowledge and improve thinking skills in the cognitive domain, they recognized that classes in which internal changes occur are good classes. It is recommended to expand the recognition difference between the professor and the learner for the good classes and the comparative study for the good classes that the learner recognizes in th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nvironment to the subsequent research.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