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항만 배후지역의 대기오염 실태로 본 항만환경 관리정책의 새로운 방향성

The New Direction of the Port Environmental Management Policy Based on the Air Pollution Status in the Port Hinterland: Focusing on the Concentrations of Ambient Coarse Particulate Matter (PM10) in the Hinterland of Busan New Port (Changwon)

  • 26
Crisisonomy Vol.17 No.7.jpg

본 연구는 항만의 개발과 운영으로 야기될 수 있는 대기 환경오염 및 배후지역의 피해 가능성에주목하고, 이를 객관적⋅과학적 조사를 통해 살펴보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과창원(경남)에 걸쳐 운영 중인 국내 최대 무역항인 부산항 신항(창원)의 배후지역을 연구 대상으로선정하였다. 환경실태 조사는 부산항 신항 배후지역의 미세먼지(PM10) 농도에 대한 2차례에 걸쳐2개 지점을 대상으로 한 현장실험과 미세먼지 영향 수준 조사로 이뤄졌다. 미세먼지의 측정 결과, 부산항 신항(창원) 배후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는 지점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항만구역 내 신항로도로변 공업지역의 경우 대기 환경기준(PM10 100㎍/㎥)을 초과하고 있었으며, 주거지역 역시 대기환경기준을 넘지는 않으나 녹산동이나 경화동과 같은 주변 지역들보다는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항만 배후지역의 대기환경 질 개선 및 관리를 위해서는 환경 기술적 조치뿐만 아니라 해운⋅ 항만⋅물류업체 등 민간부문 및 지자체와의 협력이 요구된다. 또한, 이들의 참여와 실효성 있는 정책이행을 위한 법제도적 기반이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ir pollution and damage to the hinterland that may be caused by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port, and to examine it by using especially analysis and optimization methods. The Busan New Port which is the largest trading port in Korea operating across Busan and Changwon (Gyeongnam) have been undertaken. Two field experiments on the concentration of coarse particulate matter (PM10, Hereafter PM10) and the level of influence of PM10 were investigated at two sites in the industrial and residential areas behind Busan New Port (Changwon). As the results, the concentration of PM10 was different for each site. In particularly, the actual air quality was exceeded the standard set as PM10 100㎍/㎥ for the case of the industrial area within the port area. Beside that, the observated values at the residential area did not exceed the standard, but were higher than other areas’s such as Noksan-dong and Gyeonghwa-dong.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air pollution in the hinterland of ports, not only environmental and technical measures, but also coope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take into accou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검토

Ⅲ. 항만 배후지역의 환경실태조사 및 결과

Ⅳ. 항만 배후지역 대기 질 개선을 위한 항만환경 관리정책의 방향성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