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Crisisonomy Vol.17 No.8.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내에서 발생한 산지토사재해의 발생시기 및 발생지역 특성 분석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Occurrence Time and Region by Mountainous Sediment Disaster in Korea

DOI : 10.14251/crisisonomy.2021.17.8.13
  • 27

우리나라의 경우 지형, 지리적 여건으로 인하여 도시화에 따른 산지개발이 진행된 지역이나 산지주변의 인구 밀집지역에서 단기간의 집중호우가 발생하면 산지토사재해로 인한 대규모 피해를 입을수 있으나 피해예상범위 등을 사전에 예측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므로, 인명과 재산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에 예방대책을 수립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산지토사재해의발생시기별, 행정구역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재해대응에 취약한 새벽 및 야간시간대에 피해가 높았고, 농산촌 지역뿐만 아니라 도시생활권에서도 발생빈도 증가와 함께 피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지토사재해의 발생시간 및 지역적 발생특성 분석을 통해 피해 저감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고찰하고,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안정성이 보장된 생활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인명 및재산피해를 저감하고, 건축물 예방강화 및 법제도의 개선 등 비구조물 대책과의 연계방안을 제시하여 산지토사재해지의 종합적인 비구조물 대책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것이다.

In Korea, mountainous sediment disaster can occur anytime everywhere in the area where mountain development has progressed by urbanization or densely populated area around mountain due to topographic and geological conditions. However, the mountainous sediment disaster has many difficulties in predicting the expected damage range, there is a limit to preparing precautionary measures in the areas where many casualties and properties are expect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occurrence and damage situation by sediment disaster in order to identify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disaster.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damage caused by sediment disaster are high at dawn and night time vulnerable to recognize and respond to disaster. And it was found that the damage increase not only in rural areas but also in urban areas with increasing occurrence frequency. If the analysis for the tim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mountainous sediment disaster is conducted,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comprehensive non-structural measures for mountainous sediment disaster by securing a stable living spac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분석 및 고찰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