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of Smartphone Addiction in Nursing University Student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7 No.9
- : KCI등재
- 2021.09
- 105 - 114 (10 pages)
본 연구는 일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우울, 알코올 사용 장애,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련요인을 탐색하고 각 변수들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대학생의 우울, 알코올 사용 장애가 스마트폰 중독에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은성별, 대인관계, 스마트폰 사용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에는우울, 알코올 사용 장애가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우울과 알코올 사용 장애의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설명력은 16.5%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대한 상담과 교육 적용 시 알코올 사용 장애, 우울 등 정신건강과 연계하여 전략을 수립하고, 이러한 관련 영향 요인을 고려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ed factors between depression, alcohol use disorder,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check the effect of each variable on smartphone addi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22.0 Program,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depression and alcohol use disorder on smartphone addi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in gend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usage time. Also, it was confirmed that depression and alcohol use disorde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depression and alcohol use disorder for smartphone addiction was 16.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is applied, strategies are established in connection with mental health such as alcohol use disorder and depression, and research on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considering these related factors is requir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