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표중심 자기조절과 선제적행동 관계에서 직무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다중 매개효과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Job-Efficacy and Resilience in the links between a Goal-Focused Self-Regulation and Initiative Behavior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4 No.3
- : KCI등재
- 2022.06
- 1017 - 1032 (16 pages)
현대 조직에서 수동적 대상에서 능동적 대상으로 조직구성원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는 능동적 행동 주체의 자발적 역할을 강조하는데 그 중심에 자기조절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목표중심 자기조절을 주요 원인변수로 설정하여 선제적 행동에 이르는 과정에서 다중 매개변수로 직무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설정하여 변수들 간의 주 효과 및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 과정은 제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기업종사자 및 공공기관 근로자 400명을 대상으로 설정하여 동일 연구대상에게 1주의 시간적 차이를 두고 자료를 수집하는 측정 시기 분리방법을 적용하였다. 총 355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이 가운데 응답자가 일치하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57부를 분석에서 제외하고 총 298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SP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목표중심 자기조절은 예상한 바와 같이 직무효능감, 회복탄력성, 선제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직무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직무효능감의 경로는 지지되었으나, 회복탄력성을 통한 경로는 기각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최근 연구자들의 관심을 야기하고 있는 목표중심 자기조절 개념의 긍정적 역할에 관한 의미 있는 결과를 제공하며, 목표중심 자기조절의 선제적 행동에 이르는 심리적 과정에 관한 매개변수들의 역할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The paradigm shift on employees from the passive to the active in modern organizations stresses on roles of personal initiative and self-regulation is at the edge of it. The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in this context were tested the main effect of goal-focused self-regul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on initiative behaviors and the mediational process via job-efficacy and resilience as dual mediators in this relationship. The data collection carried out from 400 employees who have worked at private companies and government offices located in Jeju Province. In addition, temporal separation method with a week gab toward same participants was applied. 355 sets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298 sets among them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57 sets with SPSS Macro program. The goal-focused self-regul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job-efficacy, resilience, and initiative behavior respectively as expected. In terms of mediating effects on job-efficacy and resilience, job-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focused self-regulation on initiative behavior but no significance in the path of resilience. These results which highlight a positive role of the goal-focused self-regulation enable to contribute to facilitate researcher’s interest of it and to show distinctive psychological process in the links between goal-focused self-regulation and initiative behavior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3. 연구설계
4. 실증분석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