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재난피해자 재해구호복지 지원과 재난 레질리언스 강화

Disaster Relief Support for Disaster Victims and Reinforcement of Disaster Resilience: Measuring the Relative Importance Using AHP Analysis

  • 81
Crisisonomy Vol.17 No.11.jpg

본 연구는 COVID-19 재난 피해자의 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해 재해구호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측정함으로써 재해구호복지 지원활동의 개선사항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요 분석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재해구호복지 지원활동에서 고려해야하는 측정영역 간의 상대적 중요도는 지원원칙이 지원주체보다 중요하고, 지원원칙 중에서 적시성 원칙이 가장 중요한 순위로 나타났다. 둘째, 지원주체에 대한 측정 요소별 상대적 우선순위에서 중앙정부보다 지방자치단체가 1순위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자치단체는 재난발생 지역에서 주민을 보호할 일차적 책무를지니고 재난 현장에 신속하게 접근하고 효율적인 대응과 복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셋째, 지방자치단체는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높이기 위해 참여 통로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네트워크역량을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주민 간의 역량이증가하는 것은 재난피해자를 위한 재해구호 복지 지원활동의 만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재난피해자의 레질리언스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s in disaster relief and welfare support activities by measur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disaster relief factors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COVID-19 disaster victi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cognized that the support principle is more important than the support subject in disaster relief and welfare support activities. Among the elements of the support principle, the principle of timelines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local government recognized as the first priority rather than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relative priority of each measurement element for the support subject. Third, it is necessary for local governments to expand their particip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Fourth, it is necessary to build a system that can check network capabilities. As a result, increasing the capacity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can help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disaster victims.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COVID-19 지원 및 대응

Ⅳ. 연구설계

Ⅴ. 분석 결과

Ⅵ.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