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Crisisonomy Vol.17 No.12.jpg
KCI등재 학술저널

요양병원 근무자의 재난대비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Awareness of Disaster Preparedness of Long-term Care Hospital Employees

DOI : 10.14251/crisisonomy.2021.17.12.71
  • 7

요양병원 이용 수요가 증가하는 만큼 안전한 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근무자의 재난대비 인식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요양병원 근무자의 재난대비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연구대상자는 수도권 내 6개 요양병원 근무자 268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05월11일부터 05월 30일까지였다. 연구결과, 재난대비 인식수준은 5점 만점에 4.32점이었으며,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도는 보통 이상이었다. 변수 간 상관관계는 회복탄력성과 재난대비 인식,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도 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01). 재난대비 인식에 영향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중 지지성 요인과 재난교육을 받은 경험이었으며, 설명력은 12.9%였다. 결론적으로, 요양병원 근무자의 회복탄력성과 재난관련 교육 경험은 재난대비 인식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향후, 요양병원의 근무자에 대한 재난대비 교육개선, 회복탄력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요양병원의 재난대비 강화를 위한 인증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가 이어질 것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awareness of disaster preparedness of long-term care hospital employees. Data was collected from 268 participants from six institute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May 11 to May 30, 2019. Their awareness level of disaster preparedness was 4.32 out of 5. Evacuation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disaster preparedness.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were above average. Resili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wareness of disaster preparedness and job satisfaction (p < .001). Factors influencing awareness of disaster preparedness were “support” of resilience sub-factors and disaster education. The explaining power was 12.9%. In conclusion, individual resilience and disaster education influence the awareness of disaster preparedness of long-term care hospital employees. Future studies should identify the status of their disaster education and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their resilience and accreditation guidelines to ensure their disaster preparednes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