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Crisisonomy Vol.18 No.1.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년주거위기 극복을 위한 주거소비지표 도출 및 AHP(Analytic Hierarchy Analysis) 분석을 통한 기존세대와의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Derivation Housing Consumption Indicator and Comparison with Older Generations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Overcome the Youth Housing Crisis

DOI : 10.14251/crisisonomy.2022.18.1.115
  • 130

중산층 및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강화되면서 보편적 주거 안전망 확보를 위한다양한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주택정책에 있어서 기존세대의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노력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주거문제가 심각한 청년층은 자력으로 주거문제를 해결해야하거나, 현행 주택정책과 주거안정망의 틀에서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주거취약계층으로 남아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청년주거위기 극복을 위한 주거소비지표를 도출하고 기존세대와의비교를 통해 청년층이 요구하는 주거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데이터에서 청년층의 주거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관련 지표를 도출하였고, 기존세대와의 차이 및 중요도를 비교하였다. 기존세대가 「주택환경」을 우선시 한 반면, 청년세대는 「경제 환경」을 우선순위로 도출하였다. 「경제 환경」에서 기존세대는 투자가치, 대출금상환을 선택한 반면, 청년세대는 주택가격 및 개인사정을 우선순위로 선택하였다. 청년층의 안정적 주거소비를 위해 주택환경의 개선 및 경제적 측면에서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Housing polity is being strengthened for housing stability of the middle class and low-income classes, and various alternatives are being proposed to secure an general housing safety policy. In housing policy, policy efforts to improve the housing welfare of older generation households are steadily being made. However, youth generation with serious housing problems must solve their housing problems on their own. In addition, they do not receive sufficient support from the current housing policies and remain as a housing-vulnerable class. In this study, the housing consumption indicator is derived to overcome the youth housing crisis, and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demanded by the youth are ident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older generation. For this, the study derives relevant indicators that can identify the housing characteristics of youth generation, and compares the difference and importance with the older generation. While the older generation gives priority to 「Housing Environment」, the youth generation recognizes 「Economic Environment」 as a priority. It is judg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housing environment and specific support in economic terms is necessary for the stable housing consumption of youth generation.

Ⅰ. 서론

Ⅱ. 제도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세대별 주거소비 실태와 지표도출

Ⅳ. 주거소비 지표의 계층분석(AHP)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