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Crisisonomy Vol.18 No.2.jpg
KCI등재 학술저널

미숙아의 영유아기 발달과 어머니의 우울, 양육스트레스 및 학습준비도

Development of Infants Born Prematurely, Depression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chool Readiness: Using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DOI : 10.14251/crisisonomy.2022.18.2.113
  • 126

본 연구는 미숙아의 영유아기 발달과 어머니의 우울, 양육스트레스를 파악하고 학습준비도와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육아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한 한국아동패널 1차-4차, 7차년도자료를 사용하였고, 재태기간이 259일 미만이거나 출생 체중이 2.5kg 미만인 신생아 총 90명의 자료를 선정하였으며 종단연구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아, 출생 후 집중치료실에입원하여 치료를 받은 경우, 출생순위가 셋째 이상인 경우, 질식 분만인 경우, 인공수정 및 시험관수술 등을 이용하여 임신한 경우 미숙아의 학습준비도가 낮았다. 또한 1세와 3세의 입원 경험이있는 경우, 1세 미만과 2세 발달검사 결과 의심스러운 발달이었던 경우에 학습준비도가 낮았다. 미숙아의 학습준비도는 재태기간, 출생 시 체중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출생 후 집중치료실 입원기간, 영유아기 어머니의 우울, 양육스트레스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미숙아의 장기적인 발달과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미숙아 발달과 학업능력 증진을 위한 종단 연구와 중재 연구를 제언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development of premature infants,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and to explor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school readiness of premature infants. Data from the 1st, 4th, and 7th years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were used, and a total of 90 newborns with a gestation period of less than 259 days or a birth weight of less than 2.5 kg were analyzed using weights from a longitudinal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school readiness of premature infants was low in boys, those admitt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after birth, those third or higher in birth order, those delivered vaginally, those achieved by assisted reproduction, hospitalization experiences of 1- and 3-year-olds, or questionable development in the screening test for infants under 1 year of age and at 2 years of age. The school readiness of premature infa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gestational period and birth weight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uration admitt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after birth,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the long-term development and learning readiness of premature infants, further longitudinal or interventional studies for which are suggest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