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상대비업무담당자가 지각하는 조직배타주의(ostracism)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Ostracism Perceived by Emergency Preparedness Offic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Silence as a Mediating Variable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8 No.2
- : KCI등재
- 2022.02
- 129 - 146 (18 pages)
본 연구는 현직 비상대비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로서 소속된 조직의 본연의 목적이아닌 비상대비와 재난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전문인력인 비상대비업무담당자들이 지각하는 조직배타주의가 조직침묵을 매개로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구조화된 설문지로 구글설문지 앱을 통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적, 네트워크적 측면에서 이질적인 존재로 근무하는 비상대비업무담당자들은 다른 구성원들의 고의성이나 작위(作爲)성 여부와 상관없이 조직배타주의를지각하고 있었다. 둘째, 비상대비업무담당자가 조직배타주의를 지각하는 경우 조직몰입은 저하되었으며, 비상대비업무담당자에게 수행업무에 대한 개선사항이나 문제점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발언하지 않고 내면에 간직하는 조직침묵이 발현하는 경우에도 조직몰입은 저하되었다. 셋째, 비상대비업무담당자가 지각하는 조직배타주의는 조직침묵과 정(+), 조직몰입과 부(-)의 관계에 있으며, 조직침묵은 조직배타주의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있었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f emergency preparedness officers and aims to clarify the effect of ostracism perceived by emergency preparedness officers who are experts in performing tasks other than the original purpose of the organization, such as disaster management, emergency prepared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organizational silence.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Google survey app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ergency preparedness officers perceived ostracism regardless of the intention and deliberate consciousness of other members as heterogeneous members in terms of humans, work, and network aspects in their respective organizations.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lower when they perceived ostracism. Seco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decreased when they had organizational silence and did not mention anything about the improvements and problems of their duties and chose to keep their opinions to themselves. Third, perceived ostracism had a negative (-)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sil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silence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stracis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