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Crisisonomy Vol.18 No.4.jpg
KCI등재 학술저널

효과적 재난대응을 위한 협력적 플랫폼의 형성, 운영기제, 집합적 성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The Formation, Operation, and Collective Impact of a Collaborative Platform for Disaster Response: A Japan Platform Case

DOI : 10.14251/crisisonomy.2022.18.4.1
  • 30

본 연구는 효과적인 재난대응을 위한 새로운 협업 모델로서 Ansell & Gash(2018)가 제안한 협력적플랫폼(collaborative platform)의 개념을 적용하여, 일본의 재난대응 플랫폼인 Japan Platform 사례를 통해 재난대응 플랫폼의 형성과 운영기제, 집합적 성과를 탐색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NGO와 민간기업, 정부는 각기 부족한 재원을 보완하거나 기업과 국가의 국내외적 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에서플랫폼에 참여하고 있었다. 더불어 Japan Platform은 다양한 회원기관 간 역할분담을 명확히 하고, 각 섹터의 참여자들이 의사결정과정에 균형 있게 대표되게 함으로써 이들 간 상이한 이해관계로인한 갈등을 관리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부자금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 장기적으로 정부 행위자의영향력이 커지는 것에 대한 우려가 발견되었고, 민간기업의 해외 인도적 지원에 대한 저조한 관심으로 인해 국내외 지원의 균형을 이루는 것에 대한 고민도 있었다. 특히, Japan Platform 조직 자체의집합적 성과에 대한 논의는 매우 미미한 수준으로, 향후 플랫폼 조직으로서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집합적 성과에 대한 논의와 이에 따른 전략적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

This case study of the Japan Platform investigates the participants’ motivations, operational processes, and collective impacts of a collaborative platform for disaster response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s. NGOs, enterprises, and government agencies participated in the Japan Platform to supplement in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or enhance their local and international reputation. Furthermore, the Japan Platform resolved disputes arising from divergent interests by defining member roles and enabled participants in each sector to be fairly represent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However, the Japan Platform was heavily reliant on government subsidies. Different interests and viewpoints for local or international support between enterprises and NGOs were also significant obstacles to overcome. To respond to disasters effectively as a collaborative platform, the Japan Platform needs to examine the collective impact and establish strategic goals accordingl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several suggestions for Korea, which has a centralized disaster response system, to respond more effectively to disasters through collaborative platforms with diverse sector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