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Vol.22 No.3.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상 LiDAR 데이터와 통계적 기법을 활용한 급경사지 위험도 분석

Analysis on the Hazard Assessment for Steep Slopes Using the Terrestrial LiDAR and Statistical Scheme

DOI : 10.9798/KOSHAM.2022.22.3.81
  • 20

산사태 등 급경사지 재해는 우리나라에서 우기에 주로 발생하는 대표적인 자연재해로 부족한 공간확보를 위해 경사지 개발이 시작된 1970년대 이후 급속도로 증가하였으며, 최근에는 태풍 등으로 인한 대규모의 피해보다는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개별 피해가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산사태 피해저감 대책의 패러다임을 피해발생 후 복구에서 피해발생 전 예측 및 대응중심으로 전환하는 추세에 있으나, 정확한 급경사지의 운동 메커니즘 예측모델이 제시되지는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급경사지의 지형변화가 초기 산사태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향후 산사태 발생예측 및 대응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지형변화를 정량화한 평면도는 사면의 지표거동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결과물들은 초기 산사태 위험도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사면에 직접 설치하는 기존 계측장비가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성과들은 향후 현행 복구중심에서 예측기반으로 산사태 관리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Disasters on steep slopes, including landslides, are typical natural disasters that occur mainly during the rainy season in Korea. To procure insufficient space, slopes have been developed rapidly since the 1970s. Recently, individual damage due to localized torrential rains caused by climate change is predominant rather than large-scale damage caused by typhoons. In Korea, there is a trend of shifting the paradigm of landslide countermeasures from recovery after damage to prediction and response before damage. However, an accurate prediction model of the mechanism of landslides has not been presen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geomorphological changes on ground surface of steep slopes on the initial risk of landslides. Additionally, we checked whether they can be used for future landslide prediction and response work.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planarity, which quantified geomorphological changes on the ground surface, can quickly and accurately monitor the behavior of the slope. Moreover, the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initial landslide risk analysis. Additionally, we showed that the limitations inherent in the existing measuring equipment installed directly on the slope can be overcome. These achievemen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hifting the paradigm of landslide management from the current recovery-oriented to forecast-based.

1. 서 론

2. 지형요소의 정량화

3. 연구 지역

4. 연구 결과

5. 분석 및 고찰

6.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