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결정성에 따른 TiO2 나노입자의 포토루미네선스 영향

The Effect of Crystallinity on the Photoluminescence of TiO2 Nanoparticles

  • 11

타이타니아 ($TiO_2$ 수식 이미지)는 독성이 없고 매우 높은 굴절률, 촉매 활성 및 생체 적합성을 지니고 있으며 화학적 안정성이 있고 높은 이방성을 갖는 저렴한 재료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세라믹 소재이다. 이러한 $TiO_2$ 수식 이미지를 sol-gel법을 이용하여 나노입자화 하였다. 나노입자 형성중에 pH를 조절하여 $TiO_2$ 수식 이미지의 결정성을 제어하였다. 합성된 나노입자는 엑스선 회절분석법, 퓨리에 분광기(Fourier transform infrared),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과 포토루미네선스(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합성된 $TiO_2$ 수식 이미지 나노입자는 5 nm 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노입자의 결정성이 증가됨에 따라 550 nm 영역의 발광세기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TiO_2$ 수식 이미지 나노입자의 결정성 조절을 통한 발광 특성 조절을 기대할 수 있다.

The Titanium oxide ($TiO_2$ 수식 이미지) is an attractive ceramic material which shows non-toxic, high refractive index, catalytic activity and biocompatibility, and can be fabricated at a low cost due to its high chemical stability and large anisotropy. $TiO_2$ 수식 이미지 nanoparticles have been prepared by sol-gel method. The pH of solution can affect the $TiO_2$ 수식 이미지 crystallinity during the formation of nanoparticles. The prepared nanoparticles were characterized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X-ray diffraction,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structural and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Through these analysis, the size of $TiO_2$ 수식 이미지 nanoparticles were found to be smaller than 5 nm. As the crystallinity of the nanoparticles increased, the emission of PL in the 550 nm region increased. Therefore, luminescence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of the $TiO_2$ 수식 이미지 nanoparticles.

1. 서론

2. 실험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