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창의성과 진로 연구의 지식구조 탐색

Explor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Creativity and Career Research: A Keyword Network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과 진로 연구의 지식구조를 탐색함으로써 창의적 진로개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창의적 진로개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20년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중 창의성과 진로가 함께 고려된 211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494개의 주제어를 추출하였다. 이 중 출현빈도가 3회 이상인 55개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중심성 분석과 커뮤니티 분석을 포함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결중심성 분석결과, 창의성, 직무만족, 직무재창조, 대학생, 창의적 인성 등이 높게 나타났다. 커뮤니티 분석결과, 수학적 창의성(고립노드), 창의적 문제해결력(초등학생, 진로발달, 진로탄력성 등), 창의성(대학생, 창의적 인성,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 등), 유아교사(직무스트레스, 교수창의성, 교수효능감 등), 직무만족(직무성과, 직무재창조, 창의적 행동, 직무열의 등)을 각각 중심으로 하는 5개의 하위집단이 형성되었다. 각 하위집단마다 핵심적으로 다루고 있는 연구대상, 창의성의 형태 및 진로개발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점은 하위집단별 특성에 따라 창의적 진로개발 연구의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차별적인 함의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제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unds of creative career development studies and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the studies by explor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creativity and career research. A total of 494 keywords were selected from 2211 research papers conducted in South Korea during the past 20 years from 2002 to 2021 that simultaneously considered creativity and career. Then, a network analysis including centrality and communit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cy were cretivity, job satisfaction, job crafting, job outcomes, creative behavior, and so on. The keywords with high betweenness centrality were creativity, job satisfaction, job crafting, college students,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so on. In the results of community analysis, five subgroups were formed focusing on mathematics creativity (isolated node), creative problem solving (elementar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areer resilience etc.), creativity (college students, creative characteristics, career maturi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tc.),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teaching creativity, teaching efficacy etc.), and job satisfaction (job outcomes, job crafting, creative behavior, job engagement etc.), respevtively. There were differences in research subjects, creativity forms, and career development factors that each subgroup was dealing with, and these differences provide importang implications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creative career development stud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ial subgroup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