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844.jpg
KCI등재 학술저널

주디스 버틀러의 <불확실한 삶>에 나타난 제1세계 지식인의 자기 제한적 실천으로서의 문화 번역

Enacting a Self-limiting Practice of Cultural Translation on the Part of First World Intellectuals in Judith Butler’s Precarious Life

DOI : 10.19116/theory.2022.27.2.121
  • 278

본 논문은 􋺷젠더 트러블􋺸 이후 주디스 버틀러의 사상적 변화를 􋺷불확실한 삶􋺸 에 대한 독해를 통해 주의 깊게 조망한다. 젠더 트러블에서 강조되었던 성적 자율성의 문제는 􋺷불확실한 삶􋺸에서 관계성에 관한 사고로 확장된다. 자유라는 진보적인 내용도 위치성을 고려하지 않은 단일한 보편성 속에 담기면 폭력적일 수 있다. 이것은 자유를 요구하는 것 자체가 발화자의 위치나 타자와 맺고 있는 관계를 벗어나 이해될 수 없다는 버틀러의 인식적 변화인 셈이다. 9/11 사건으로 인한 타자와의 조우와 이에 대한 미국의 반응은 이러한 인식적 전환을 가져온 결정적 계기로 작동한다. 제1세계로서의 미국은 ‘자유’와 ‘진보’라는 이름으로 이슬람이라는 타자를 배제하고 전쟁을 자행했다. 􋺷불확실한 삶􋺸은 이런 제1세계 지식인으로서의위치성에 대한 버틀러의 고민과 반성이 담긴 텍스트이다. 자유에 대한 요구를 단일한 보편성이 아닌 다양한 문화적 맥락과 다수의 문화적 규범의 경쟁 속에 어떻게담아낼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버틀러는 문화 번역이라는 관점에서 보편성을 재구성한다. 문화 번역을 핵심으로 하는 보편성이란 각 입장의 다양성을 인정해주는 것이 아니라, 자아의 형성에 본질적인 타자성을 이해함으로써 주체의 주권적 지위를 허무는 과정이다. 이것은 포용이나 동화의 과정이 아니라, 양쪽의 언어의 규범적 체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버틀러는 이러한 번역의 과정을 탈자적 관계성으로 설명한다. 탈자적 관계성은 단순한 감정적 공감을 넘어 주체의 구성근본에 타자가 자리하고 있고, 우리 모두 사회체계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버틀러는 말걸기의 구조를 통해 타자의 말걸기에 응답하지 않음으로 타자를 탈인간화 시키는 규범을 고찰하고 제1세계인의 특권적 지위를 허물 것을 주장한다. 􋺷불확실한 삶􋺸에 나타난 윤리적 책임감이란 바로 제1세계 지식인으로서 자신이 속한곳의 규범을 변화시키려는 자기 제한적 실천으로서 문화 번역의 과정이다.

This paper carefully examines Judith Butler's ideological change after Gender Trouble through reading Precarious Life. The issue of sexual autonomy emphasized in Gender Trouble is extended to thinking about relationality in Precarious Life. Even the progressive content of freedom can be violent if it is contained in a single universality that does not consider speaker’s position. This is Butler's cognitive change that demanding liberation itself cannot be understood outside of the speaker's position or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encounter with others due to the 9/11 incident and the American reaction to it act as a decisive moment that brought about this cognitive shift. The United States, as the First World, waged war in the name of ‘freedom’ and ‘progression’, excluding others called Islam. Precarious Life is a text that contains Butler's thoughts and reflections on her position as a first-world intellectual. How can the demand for freedom be contained in the competition between various cultural contexts and multiple cultural norms rather than a single universality? To answer this question, Butler reconstructs universality in terms of cultural translation. The universality including cultural translation is not acknowledging the diversity of each position, but is a process of breaking down the sovereign status of the subject by understanding the alterity essential to the formation of the self. This is not a process of inclusion or assimilation, but a change in the normative system of both languages. Butler explains this process of translation as ecstatic relationality. Ecstatic relationality goes beyond simple emotional empathy and shows that the other is at the root of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and that we are all dependent on the social system. Butler criticizes the norms that dehumanize the other by not responding to the other's address, and argues for breaking down the privileged status of the people in the first world. The ethical responsibility shown in Precarious Life is the process of cultural translation as a self-limiting practice to change the norms of her place as a first-world intellectual.

1. 보편성의 자리와 문화 번역

2. 탈자적 관계성으로의 확장

3. 말 걸기의 구조

4. 사회비판으로서의 윤리적 책임

인용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