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dd.PNG
KCI등재 학술저널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의 피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victims of humidifier disinfectant cases

이 연구는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의 피해 경험과 극복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이다. 연구에는 10명의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이 참여했다.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과 1:1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했다. 자료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 차원에서는 ‘황폐화된 내적 세계’, ‘세계에 대한불신’으로 나타났다. 가족 차원에서는 ‘가족 간의 거리감’, ‘가족 이기주의’, ‘역경에서 생성된 가족 레질리언스’가 나타났다. 사회적 차원에서는 ‘관계의 다리가 끊어짐’, ‘아웃사이더로서의 국가’, ‘국가 위에 군림하는 기업’, ‘의료인과 기업, 정부의 삼자 카르텔’이 나타났다. 피해자 차원에서는 ‘권리 위에서 잠자던 권리의 각성’, ‘연대의 힘’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연구결과에 의해 피해자들의 불신, 피해자로서 알 권리, 피해자들의 당사자 운동과 임파워먼트에 대한 논의와 구체적 제언을 했고, 피해자들에 대한 공감적 접근, 지지자원의 연계, 자기효능감에 대한 구체적 제언을 했다.

This case study examined 10 individuals’ experience of loss and how to overcome the damage caused by humidifier disinfectants. The study is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about the victims of the humidifier disinfectant scandal. Data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participants reported “the inner world devastation” and “distrust toward the world.” At the family level, they experienced “a sense of distance among family members,” “family-oriented selfishness,” and “family resilience built in hardship. “ At the social level, the victims faced: “broken relationships”; “the nation as an outsider”; “companies reigning over the nation”; and a three-party cartel of “medical workers, businesses, and the government.” At the victim level, they experienced “awakening on recognition of one’s rights,” and “the power of solidarity”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 had discussion on the victims’ distrust, right to know, party movements, and empowerment and made specific suggestions in these aspect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