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거노인의 고령친화적 환경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Elderly People Living Alone: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 제43호
- : KCI등재
- 2022.06
- 171 - 201 (31 pages)
본 연구는 Lawton & Nahemow의 개인-환경 적합성 이론을 토대로 남녀 독거노인의 고령친화적 환경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사업인 『확장형 리빙랩을 통한 노인맞춤형 주거복지 통합서비스 개발』의 실태조사를 일부 활용하여 조사대상자 중 독거노인 477명을 분석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으며, 남성과 여성 그룹별로 연령, 소득, 학력, 주관적 건강상태를 통제한 후 물리적 환경, 사회문화 환경, 서비스 환경 등의 고령친화적 환경 변수들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연령,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은 남성에 비해 여성의 평균나이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은 남성에 비해 여성의 교육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남성 독거노인은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 독거노인의 경우에는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고령친화적 물리적 환경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개입방안 및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Based on Lawton & Nahemow’s Person-Environment Fit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age-friendly environmental level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considering the gender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Data from 『A living-lab-based occupant-responsive housing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were used for this study, and 477 completed survey interview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main predictors of age-friendly environmental levels such as physical, socio-cultural, and service environment and their effec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male elderly living alone, the higher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lderly females living alone,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income,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higher the physical environment level, the higher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made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for the elderly and for future studies as well.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