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사회심리발달연구 제3권 제1호.jpg
학술저널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지역의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42명을 대상으로 감성리더십, 직무만족도, 그리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성리더십, 직무만족, 그리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둘째, 원장의 감성 리더십과 직무만족도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감성리더십의 하위변인인 관계관리능력, 직무만족도의 하위변인인 직무자체에 대한 신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논의하고 교사와 영유아 상호작용을 높이는 교육적 실천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eacher 's perception about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the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infant Data were collected from 242 preschool teachers on PEL, TJS and TII which then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6.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ond, emo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affect teacher-infant interaction. Specifically, self-management relationship, which is a sub-variable of emotional leadership, and belief in job itself, which is a sub-variable of job satisfaction, have an effe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s paper examines these results through the lens of previous research, proposes the direction of follow-up studies, and discusses strategies to support teacher-infant interact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