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19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시설보호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증진을 위한 치료적 노래만들기 사례

A Case Study of Therapeutic Song Making to Enhance the Self-identity of Adolescents in Residential Treatment Facility

DOI : 10.21187/jmhb.2022.19.1.043
  • 297

본 연구는 시설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향상을 목적으로 한 노래만들기 활동의 개별 음악치료 사례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쉼터에 거주하는 만 16~18세 남자 청소년 3명이다.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은 각 대상자별 자아정체감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중 낮은 영역을 중심으로 선율과 가사 등의 음악적 요소를 활용하여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주 1회, 각 회기별 60분씩 총 13회기에 걸쳐 진행되었고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대상자들에게 시행되었다. 자료분석은 자아정체감 척도에 따른 하위영역별 사전, 사후 검사 결과와 회기별 언어적, 음악적 반응에 따른 변화, 사후 대상자들의 언어적 반응을 분석하는 평가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 A를 제외한 대상자 B, 대상자 C는 자아정체감 사전 척도 검사 결과에 비해 사후 결과가 향상하였으며 하위영역 별로 대상자 B는 친밀성이, 대상자 C는 주도성이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회기별 언어적, 음악적 반응에서 참여 대상자 모두 자아 탐색 과정을 통해 주체성이 향상 되었으며 이는 긍정적 자아상 확립에 기여하였다. 또한 사후 언어적 반응에서 대상자 3명 모두 ‘나’를 주제로 한 창작곡이 자아를 탐색하고 자아정체감을 확립하는 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었다고 표현하였다. 결과적으로 치료적 노래만들기는 시설보호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확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is a case study of therapeutic song making activities aimed at improving the self-identity of adolescents in residential treatment facility. The participants were three male teenagers (16 to 18 years of age). The song making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dividually with the participants once a week over 13 weeks, and each session lasted 60 minutes. The participants took the lead in making songs by discussing on the self-image and his/her role in the relationship and using musical elements to reflect his/her perception. For analysis, an evaluation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for each sub-domain of the self-identity scale, and changes in the verbal and musical responses during each session. Two of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higher post-test results compared to their pre-test performance, and their highest post-test scores were for the subdomains of intimacy and initiative respectively. In terms of verbal and musical responses per session, all three participants improved their subjectivity through the self-exploration process, which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more positive self-image. This study suggests that facility youth engaging in making creative songs can positively change their perception of their present and future selves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nse of identity.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