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신학사상 197집(2022년 여름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나오미의 신앙과 좌절

룻기 1:6-7, 19-22에 대한 상호본문비평적 연구

이 논문은 모압을 떠나기로 한 나오미의 결단(룻 1:6-7)과 베들레헴에 도착하여 보인 나오미의 혼란스러운 모습(19-22절)에 대한 상호본문비평적 연구를 통하여 나오미의 신앙과 좌절을 고찰한다. 학자들은 룻기 1장 6-7절에서 나오미가 “들었다, 일어났다, 떠났다”에 주목하거나, 아니면 “돌아갔다”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러나 주목해서 보아야 할 부분은 6-7절에 두 번 언급된, “돌아갔다”의 문맥에서 사용된 세 행동 동사“일어났다, 떠났다, 걸어갔다”이다. 그 세 행동 동사를 통하여 룻기 1장 6-7절은 출애굽기 12장 31절과 사무엘상 23장 13절을 문학적으로 인유한다는 점을 알 수 있는데, 이 세 행동 동사는 하나님의 특별한 역사하심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인유된 그 두 사건과 비교해 볼 때 나오미가 직접 하나님의 음성을 듣거나 그분의 놀라운 역사를 직접 보지 않고도 베들레헴으로 돌아가기로 결단을 내렸다는 것은 나오미의 신앙적인 모습을 더욱 부각하고 있다. 나오미와 관련하여 주목해 보아야 할 다른 부분은 베들레헴에 도착했을 때이다. 학자들은 베들레헴으로 돌아오는 중에 룻의 헌신적인 고백에 대한 나오미의 침묵(1:18)과 그 침묵이 베들레헴에 도착하여서도 지속된다는 점(1:19-22)에 주목했다. 첫 번째 침묵과 두 번째 침묵은 나오미가 룻을 무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듣고 베들레헴으로 돌아가려고 결심한 나오미의 신앙적인 모습과 얼마 지나지 않아 베들레헴에 도착하여 하나님을 원망하면서 룻을 배제한 채 대화를 나누는 모습을 통하여 혼란스러워하며 좌절하는 나오미를 보게 된다. 결국 모압을 떠났을 때와 베들레헴에 도착했을 때의 나오미의 모습은 하나님에 대한 여러 감정이 있는 인간의 현실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Naomi’s faith and frustration through an intertextual study of Naomi’s decision to leave Moab (Ruth 1:6-7) and her agitated appearance upon her return to Bethlehem (1:19-22). Scholars have mainl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the verbs “heard”, “arose” and “left”, or on the verb “returned”, in Ruth 1:6-7. However, the three action verbs “arose”, “left” and “walked”, which were used in the context of the two occurrences of “return” in Ruth 1:6-7, are also noteworthy. Through these three action verbs, we can observe that Ruth 1:6-7 is alluding to Exodus 12:31 and Samuel 23:13. These verbs evince a response to God’s special providence. Comparing Naomi’s case to the two other incidents, we can see Naomi’s great faith through her decision to return to Bethlehem even without directly hearing God’s voice or witnessing miraculous works. Naomi’s arrival at Bethelehem is also of significance. Scholars have noted Naomi’s silence regarding Ruth’s commitment on their way back to Bethlehem (1:18) and the continuation of such silence even after the arrival in Bethlehem (1:19-22). The first and second silences shows Naomi’s disdain for Ruth. In sum, we see Naomi’s faithfulness to God through her decision to leave Moab upon hearing God’s care for His people in Bethlehem and her frustration upon her arrival at Bethlehem through her blaming God and her lack of mention of Ruth in her conversation with people. Thus, Ruth Chapter 1 portrays Naomi as a realistic human figure with ambivalent feelings toward God.

Ⅰ. 서론

Ⅱ. 나오미의 신앙: 베들레헴으로 귀환

Ⅲ. 나오미의 두 번의 침묵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