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세기 중국 대표자역본(Delegates’ version) 과정의 신명(神名) 논쟁 재고찰
- 설충수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신학사상 197집(2022년 여름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06
- 325 - 356 (32 pages)
대표자역본 과정의 신명 논쟁은 1차 아편전쟁 이후 저변 확대를 도모하는 기독교 선교의 중국 사회 특히 지식사회의 인정을 얻기 위한 노력에서 만들어진 대표자역본 과정에서 발생한 논쟁이다. 주로 “신”(神), “상제”(上帝)를 중심으로 성서의 참 하나님을 어떻게 나타낼 것이냐의 문제이지만, 이 안에는 선교사의 사상과 선교방법 등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명 논쟁의 번역원칙, 일반명에 대한 이해 그리고 중국문화의 “신”, “상제”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각각의 정통과 신앙을 강조하는 입장과 이성을 강조하는 입장을 고찰했다. 중국문화에는 기독교 하나님과 같은 존재가 없다는 전제에서 종교적 경배를 받는 가장 존귀한 존재에 대한 이해와 중국인에게도 자연종교에 대한 지식이 있다는 전제에서 숭배 대상의 개념을 전달할 수 있는 용어 선택 과정이 논쟁의 핵심이었다. 또한 창조주 하나님 개념을 전달하기 위한 문화적 토양에 대한 고려로 제기된 성리학 우주생성론에 대한 논의는 신명 논쟁의 백미라고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사상적 배경에서 신앙, 종교적 요소를 강조할 것이냐 아니면 이성을 강조할 것이냐는 문제는 조기 중국선교의 중요한 방향성이었다. 이 때문에 논쟁은 오랫동안 타협할 줄 모르는 부정적 영향이 컸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대립되는 모습은 하나의 기독교에서 발생된 것으로 당 시대의 선교사에게 각각 의미를 지녔다. 이에 그 의도와 지향점을 고찰해 기독교 사상이 지닌 다양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취지라고 할 수 있다.
The Term Question was the controversy that occurred during the process of the translation of the Delegates’ Version to gain the recognition of Chinese society, especially of the academic society, for Christian missionary work as it sought to expand its base after the First Opium War. It was not only a matter of how to represent the true God of the Bible, mainly focusing on “shen(神)” and “Shangdi(上帝),” but it also revealed the differences in missionaries thought and method. This study examines two positions widely held by missionaries, one emphasizing orthodoxy and faith and the other emphasizing reaso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translation principle. This latter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shen” and “Shangdi” in Chinese culture. On the premise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a Christian God in Chinese culture, the core of the debate centered on the understanding of which were the noblest beings worshiped. Moreover, the process of selecting terms that could convey the concept of an object of worship proceeded on the premise that Chinese people also know about natural religions. In addition, the discussion of Neo-Confucianism and cosmogenesis as conceived in Chinese culture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God the Creator was the highlight of the Deity controversy. Whether to emphasize faith, religious elements, or reason in different ideological backgrounds was an important question in early China missions. The debate ha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for a long time, with missionaries in different camps incapable of compromise. However, this was a controversy within a united Christianity, and each position had meaning for the missionaries of that time.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versity of Christian thought by examining its intention and direction.
Ⅰ. 들어가는 말
Ⅱ. 대표자역본의 경위
Ⅲ. 대표자역본의 신명 논쟁
Ⅳ. 평가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