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호서고고학 52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동북아 원사시대의 물질문화변동

Comparative approach to the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two different regions in the Proto-historic Period South Korea

원삼국시대에 접어들면서 남한지역에 물레질과 타날성형, 그리고환원소성이라는 신 제도기술이 전달됨으로써 이 지역 토기생산기술의 큰 변화가 시작된다. 이 변동을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그 기원지와연대를 해명하려는 기원론의 입장에서 다루어 왔지만, 이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의 과정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일정 지역에 신기술이 유입되고 두 가지 생산체계가 공존하는 양상, 신기술로 전통기종을 제작하거나 토착 도공이 신기술을 익혀 신기종을 생산하면서 기종과기술이 섞이고 결국은 생산의 조직들이 통합되고 전통기술은 소멸하는 과정을 토기 제작의 에이전시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려 했다. 이논문에서는 진·변한지역과 북한강유역, 이 두 지역에서 토기제작기술혁신의 과정을 비교론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이 두 지역은 기술 도입과 기술혁신의 단계적 진행과정, 그리고 생산의 조직이 통합되어 신기술에 의해 새로운 생산체계가 조직되는 과정이 상이했다. 진·변한지역 일부 취락에서 이주 도공이 물레질-타날법을 토착 도공에게 전수함으로써 기술혁신이 촉발되었다. 이 새로운 기술체계에의해 제작되는 기종이 늘어가면서 와질토기 생산체계로 발전하고 비교적 빠른 속도로 와질토기 생산체계로 토기생산의 통합이 이루어졌다. 북한강유역은 신기술의 도입 이후 토착사회 내에서 신기술에 의한 생산체계와 무문토기 생산체계가 오랫동안 한 사회, 하나의 취락안에서 병행해간 특징을 보였다. 타날문토기와 중도식무문토기 두생산체계는 병존하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기도 하지만 기종과 기술이 섞이는 일은 극히 제한되었다. 일러도 5세기 후반이 되어야 물레질-타날법을 토대로 한 생산체계에 의해 사회 내 토기제작이 통합되고 토착 무문토기 전통이 소멸했다.

The new technologies of ceramic production, such as wheel-turning, paddling and firing in reducing-atmosphere, were widely diffused into the Northeastern periphery of East Asia during the Proto-historic period. As the Yan(燕) State established political and military outposts in the Liaoning area in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new technologies accepted in the expanded territory also affected the ceramic production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transformation of ceramic production technology and organization in the Proto-historic period Northeast Asia have focused on the question of when and from where the technology was accepted, but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it as a time-space process of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When the potters with new techniques and their production organizations migrated into a certain region, the contact with the potters from indigenous communities that produced ceramic wares in traditional methods took place. As potters based on different technological systems came into contact, the technology that had been introduced with the migration of potter was transmitted to the indigenous potters through the fabrication learning, and they acquired the new bodily techniques to produce traditional and new ceramic vessels. With these technological transformations, indigenous groups develop into a complex society and develop a new organization for the ceramic production. Along with these technological changes, a new specialized organization of ceramic production developed between indigenous communities. This paper attempted a comparative explanation of the process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two different regions,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upper Han-River valley, based on the agency theory.

Ⅰ. 머리말

Ⅱ. 기원론에서 기술혁신론으로

Ⅲ. 영남지역

Ⅳ. 북한강유역

Ⅴ. 기술혁신의 지역차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