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글로벌경영학회지 제19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고의류 소비가치가 제품 평가기준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가나의 국가간 비교 분석

Effects of Consumption Values of Secondhand Clothes on Evaluation Criteria and Purchase Intention: Cross-National Comparisons of Korean and Ghanaian Consumers

DOI : 10.38115/asgba.2022.19.3.1
  • 176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하여 패션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중고의류 시장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 속에서 한국의 중고의류 해외수출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시장에 포커스를 맞춘 선행연구와는 달리 국가 간 비교연구를 통하여 중고의류 소비가치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글로벌 패션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나는 서부 아프리카의 주요 관문으로써 중고의류의 중요한 수입국인 동시에 주변국으로 중고의류를 재수출하는 중고의류 중개무역이 발달한 국가이며, 한국의 대가나 수출품 중 중고의류가 높은 비중을 차지할 만큼 중고의류의 중요한 교역국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가나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중고의류 소비가치가 제품 평가기준과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차이를 알아보고, 글로벌 패션 시장에서 중고의류 소비가치와 관련된 소비자 행동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신뢰도가 타당도가 검증된 측정 문항을 통하여 설문지가 개발되었으며, 데이터는 한국과 가나에서 중고의류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로부터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중고의류 소비가치가 제품 평가기준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국가간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에서는 중고의류 소비가치의 세 가지 차원 모두가 직간접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미쳤으나, 가나에서는 환경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가 제품평가 기준을 통해서 간접적으로만 구매의도로 연결되어 차이를 보였다.

Despite the situation where fashion companies are struggling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global secondhand clothes market is showing remarkable growth. In line with this global trend, Korea's exports of secondhand clothes are steadily increasing.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have focused only on the domestic market,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consumption values of secondhand clothe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between countries. Ghana, a major gateway to West Africa, is an important importer of secondhand clothes and a developed brokerage trade that re-exports secondhand clothes to neighboring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Ghana in the impact of the consumption value of secondhand clothes on the evaluation criteria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consumption values of secondhand clothes on evaluation criteria and purchase intention differed between countries. In Korea, all three dimensions of the consumption values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ut in Ghana, environmental and functional values were only indirectly connected to purchase intention through evaluation criteria.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의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