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모의 일-가정 갈등이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conflict of working mothers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 Mediation Effect of mother’s child-rearing stress and parenting Guilt
- 글로벌경영학회
- 글로벌경영학회지
- 글로벌경영학회지 제19권 제3호
- : KCI등재
- 2022.06
- 142 - 164 (23 pages)
맞벌이 여성이 증가하면서 직장과 가정생활에서 직업, 가사, 양육의 역할분담이 제대로 뒷받침되지 못해 다중역할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특히 아직도 남아 있는 가부장적인 인식은 여성에게 가사와 육아의 책임을 강조하고 있어 직장과 가정의 이중역할부담은 직무스트레스를 높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를 대상으로 일-가정 양립갈등과 양육스트레스, 양육부담감, 부모역할만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직장에 있는 취업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링크를 통해 설문조사를 조사를 진행하였다. 2022년 2월15일 부터 2주 동안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총 235부의 설문을 회수하였다. 이 중 12건의 불성실한 응답 및 결측치를 제거한 후 313부의 사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가정 양립갈등은 양육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일-가정 양립갈등은 양육부담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양육스트레스는 양육부담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양육부담감은 부모역할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하여 취업모의 일-강정 양립갈등에 대한 연구의 폭을 넓히고, 자녀에 대한 바람직한 양육행동을 위하여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자녀에 대한 바람직한 양육행동을 위하여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number of dual-income women increases, the division of jobs, housework and parenting roles in work and family life is not properly supported, and they are experiencing a lot of difficulties with multiple roles. In particular, the patriarchal perception that still remains emphasizes the responsibility of housework and childcare to women. As a result, the double role burden of work and family is increasing work str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conflict, child-rearing stress, parenting guilt,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for working mother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link for working mothers at work. A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weeks from February 15, 2022, and a total of 235 surveys were collected. Of these, after removing 12 unfaithful responses and missing values, 313 cases were used as the final effective sample. For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using SPSS 24.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work-life balance conflict had a positive (+) effect on child-rearing stress. Second, the work-life balance conflict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parenting guilt. Third, child-rearing str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parenting guilt. Fourth, the parenting guilt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parental role satisfaction.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on the work-life balance conflict of working mothers and provide basic data for desirable parenting behavior for childre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