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술혁명의 흐름 속에서 비인격화를 조명하며 새로운 인간상을 지향하는 기독교 인격 교육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기계시대의 기술과 인간의 진화적 흐름에 적응하고 중재하며 대안을 제시하는 기독교 인격 교육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위한 교육목적은 기술혁명시대의 새로운 인간상으로 제시된 창조적 인간, ‘호모 크레토스’ (Homo Creators)를 지향하는 것이다. 교육 목표는 창조적인 해석과 학제간의 창조적 통합과 탈기계ㆍ탈인습 패러다임의 인격적 대화를 통해서 창조적 인간을 양육하는 것이다. 교육 내용은 탈기계와 탈인습의 특징을 통섭하는 인격 대화이다. 교육 방법은 기술의 시스템적 사고와 인격 대화가 실현되도록 에듀테크(Edu-Tech), AIED(교육 분야의 인공지능)를 활용한다. 또한, 교사와 학습자, 교육 환경과 교육 평가에 대한 구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독교교육학의 관점에서 기술혁명시대 인간의 정체성을 규명하고, 새롭게 창조적 인간상에 관한 연구를 시도한 것이며, 이것을 지향하는 기독교 인격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있다. 이것은 기술혁명시대를 수용하면서도 인간의 본질적 특성을 중시하는 기독교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depersonalization in the flow of technological revolution and to present a Christian SARAMDAUM education that aims for a new human image. It represents the Christian SARAMDAUM education that adapts to, mediates, and offers alternatives to the technological and human evolutionary flow of the machine age. The purpose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is to aim for ‘Homo Creators’, creative human beings presented as a new human image in the age of technological revolution. The educational goal is to nurture creative human beings through creative interpretation, creative integration between disciplines, and personal dialogue in the post-machine/post-conventional paradigm.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is a conversation with the SARAMDAUM that consiliences the characteristics of post-machine and post-convention. The educational method utilizes Edu-Tech and AIED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to realize systemic thinking and SARAMDAUM dialogue of technology.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teachers and learner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evaluation is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from the point of view of Christian education, the identity of human beings in the era of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has been identified, and research on the creative image of the human being is newly attempted, and the direction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aimed at this is presented. This can be said to be a Christian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while accommodating the era of technological revolution.
Ⅰ. 들어가는 말
Ⅱ. 기술혁명과 인격교육의 현황
Ⅲ. 기술혁명시대를 위한 인격교육의 신학적 근거
Ⅳ. 호모 크레토스를 지향하는 기독교 인격교육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