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32권 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페르시아어에서 보어의 서법 실현과 그 선택에 대한 소고

A study on mood choice in complement clauses in Persian

  • 3

본 논문은 페르시아어 보문절에서 동사의 서법 선택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많은 언어에서 믿음 기반 술어는 직설법 보어를 선택하는 한편, 소망 기반 동사는 접속법 보어를 선택한다고 보는 관점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페르시아어의 다양한 술어들은 이러한 경향성을 따르지 않으므로 이를 설명할 수 있는 대체적인 통사 기반 분석이 필수적이다. 본고는 페르시아어의 예외적인 동사 선택 속성이 일반적으로 보편화된 의미적 관점에서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보이고, 다양한 담화를 고려한 새로운 데이터를 제시하는 한편, 믿음 기반 술어와 이 술어들이 선택하는 보충어 유형의 의미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들이 통사 기반 접근법을 통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에 대해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executed social-skill intervention program, sharing with other person, for non-social play with children. Through this test, we want to clarify the possibility of cooperative behavior change and the effectiveness of social-skill intermediation program. we select children as test samples who are qualified to be needed cooperation enhancing program from may to september in 2003 by playtherapy center of D University, among children whose mothers are ranked the highest 6th score in the PPBS test, and split randomly two group including 3 children eac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 we recorded free-play of children pre-post doing that program, and focused on change of peer cooperative behavior by analyzing BOR. Graduate student of D University help to make observational sheet by 40 times which recorded for 10 second in each 5 second observation, totally 10 minutes record and 15 second observation. According to this study, we could see that the frequency of non-social 3 children's playing alone decreased but the frequency of cooperative behavior increased. On the base of that kinds of facts, we could conclude that this program could enhance peer cooperative behavior of non-social children.

Ⅰ. 서론

Ⅱ. 페르시아어 보어의 서법에 대한 기존 분석과 문제점

Ⅲ. 페르시아어 자료 분석과 그 특성

Ⅳ. 결론 및 남은 문제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