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장학 실천을 위한 실행연구의 의미와 시사점
Meaning and Implications of Action Research for the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홀리스틱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
2022.06103 - 125 (23 pages)
-
DOI : 10.35184/kshce.2022.26.2.103
- 177

수업장학은 교실 현장에서 수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교사 행동을 중요 요소로 하며, 수업과 교사의 교수 활동(teaching activity)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수업장학이 긴요하지만, 지금까지 대다수의 교사들은 수업장학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강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수업장학의 유의미한 실천을 위해 실행연구 방법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실행연구는 연구 현장의 상황에 속해 있는 교사 참여를 바탕으로 수업과 교사 자신의 교수 활동 개선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실천적이며, 현실의 구체적인 상황에 부합하는 유용한 대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실제적인 접근 방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업장학의 실천적 실행과 실제적 접근에 강조점을 두고, 교실 수준에서 수업장학의 효과 향상을 위한 실행연구의 의미와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장학, 수업장학, 실행연구의 의미와 특징, 전통적 수업장학과 대비되는 실행연구의 강조점을 고찰한 후 수업장학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structional supervision aims to improve classroom teaching quality and the quality of instruction. An important factor in instructional supervision is the classroom (on-the-spot teaching) and behavior directly related to the teacher. However, until now, most teachers have shown a tendency to have a strong negative perception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In this context, action research methods can be an alternative for the meaningful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This is because action research is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who are involved in the field of research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ange and improvement of problems that teachers themselves care about, it is practical to explore useful countermeasures in line with the actual situation.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action research method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at the classroom level, focusing on the practical practice and approach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To this end, this paper analyzes the concepts and methods of supervision,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action research, and the emphasis of action research as opposed to traditional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finally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전통적 수업장학과 대비되는 실행연구의 강조점
Ⅳ. 수업장학 실천을 위한 실행연구의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