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교사의 신경증 및 외향성 요인 성격특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Models on the Relationship among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홀리스틱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 : KCI등재
- 2022.06
- 127 - 147 (21 pages)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의 신경증 및 외향성 요인 성격특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매개하는지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총 420부를 SPSS 23.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신경증 요인은 심리적 소진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 외향성 요인은 심리적 소진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신경증 요인은 정서 완화적 대처, 소망적 사고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외향성 요인은 문제 중심적 대처,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교사의 신경증 요인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 완화적 대처만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외향성 요인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문제 중심적 대처만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인별 성격특성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성격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stress coping models mediate the relationship among neuroticism, extraversion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in Gyeonggi-do. A total of 420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3.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neuroticism fact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exhaustion while the extraversion factor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exhaustion. Neurotic factor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llient coping and wishful thinking models. Extraversion factor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focused, social support-seeking, and wishful thinking coping model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urotic factor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of teachers, only the emotionally easing coping mechanism had a mediating effect, and only the problem-focused coping mechanism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raversion factor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for each factor can affect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the importance of stress coping models according t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