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연구개발비에 대한 신용평가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한 것이다. 연구개발비 지출은 위험을 수반하고, 수익성 실현에 일정 시간이 필요하므로 신용등급을 낮추는 요인으로 인식되었으나, 기업의 장기적 성장을 위한 무형자산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면서 이러한 부정적 인식이 점차 완화할 것으로 예상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어떤 이유에서 신용평가기관의 연구개발비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는지 이해하기 위해 연구개발비와 불확실성 간의 시계열 관계를 분석한다. [연구방법] 1988년부터 2016년까지 신용등급을 받은 미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연구개발비와 신용등급 간 관계의 시계열 변화를 살펴본다. [연구결과] 연구개발비와 신용등급 간의 음(-)의 관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완화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연구개발비와 이익변동성 간의 양(+)의 관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약화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즉, 연구개발비로 인한 불확실성이 감소하였으며, 이로 인해 신용평가기관의 연구개발비 지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점차 완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기업의 신용등급을 결정하는 데 있어 기업의 R&D 활동에 의해 창출되는 무형자산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Purpose] We examine whether the rating agencies have changed their standards on R&D expenditures over time. Further, to understand the reason why the rating agencies have changed their view on R&D, we examine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uncertainty generated by R&D expenditures. [Methodology] Using U.S. firms with a credit rating from 1988 to 2016, we investigate the temporal change in the association between credit ratings and R&D expenditures. [Findings] We find that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credit ratings and R&D in early periods has become weaker over time. In addition, we find that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R&D expenditures and future earnings volatility for sample firms has become weaker over time, suggesting one of a possibility for the observed attenuation in the negative outlook on R&D among rating agencies. [Implications] Our study proposes and empirically substantiates the important role of innovative knowledge, which is created by corporate R&D activities, in determining firms’ credit rating. Also, our finding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n credit rating by providing evidence on the determinant-level change in corporate rating standards.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and Hypothesis Development
Ⅲ. Research Design and Sample Selection
Ⅳ. Empirical Results
Ⅴ. Conclusion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