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검하수 환자의 눈꺼풀 깜박임을 눈꺼풀올림근절제술 전과 후 1개월 뒤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눈꺼풀각막반사간거리(margin reflex distance 1, MRD1)가 3.0 mm 이하인 안검하수 환자군 20명(40안)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향적 연구로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눈꺼풀올림근절제술 전과 후 1개월 뒤에 눈꺼풀 사진촬영 및 눈꺼풀 깜박임에 대한동영상을 녹화하여 MRD1, 눈꺼풀틈새, 눈꺼풀올림근 기능, 눈깜박임 사이 간격, 눈깜박임 시간, 분당 눈깜박임 횟수 및 눈깜박임 속도를 비교하고 수술 환자군을 70세를 기준으로 나누어 수술 전후 연령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안검하수 환자에서 눈꺼풀올림근절제술 1개월 뒤 MRD1과 눈꺼풀틈새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눈깜박임 시간은 짧아지고 눈깜박임 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수술 환자군을 70세 기준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70세 미만의 환자군에서 수술 전 눈꺼풀올림근기능과 눈깜박임 속도만이 더 높게 측정되었고 수술 후에는 MRD1, 눈꺼풀틈새, 눈꺼풀올림근 기능, 눈깜박임 속도 모두 높게 측정되었다. 정적, 동적 평가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MRD1과 눈꺼풀틈새가 눈깜박임 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눈꺼풀올림근 기능은 전체 안검하수 환자에서는 수술 전후 차이가 없는 반면에 눈깜박임 속도는 수술 후 유의하게 증가하는것을 확인하였다. 눈깜박임 속도는 안검하수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안검하수의 정도를 평가하고, 눈꺼풀올림근의 기능을 간접적으로평가하는 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eyelid blink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ptosis assessed using a cellphone camera before and after levator resection. Methods: In this prospective study, pictures and videos of eyelid blinking were obtained from 40 eyes (20 patients with ptosis) at a margin reflex distance 1 (MRD1) of 3.0 mm or less before and 1 month after levator resection. MRD1, palpebral fissure height (PFH), levator function, inter-blink interval, and blink duration, rate, and velocity were measured. The patients were also divided into those aged < 70 or ≥ 70. Results: MRD1, PFH, and blink velocity increased, and blink duration decreased, after levator resection. In the ptosis group aged less than 70 years, the levator function and blink velocity increased preoperatively, while MRD1, PFH, levator function, and blink velocity increased postoperatively. The blink veloc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RD1 and PFH. Conclusions: Although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levator function postoperatively, the blink velocity increased significantly. Blink velocity may be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ptosis and as an indirect measure of levator function.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