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3,number6.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2형 과립각막이상증 이형접합자에서 치료레이저각막절제술

전후의 대비감도 변화

목적: 대비감도란 배경 또는 인접 사물로부터 특정 물체의 상대적 밝기 차이를 감지하는 기능(능력)으로 다양한 환경에서의 시기능을평가할 수 있다. 제2형 과립각막이상증(granular corneal dystrophy type 2, GCD2)은 각막 기질의 혼탁으로 시기능의 저하를 일으킨다. 이에 본 저자들은 GCD2에서 치료레이저각막절제술(phototherapeutic keratectomy, PTK) 전후 대비감도를 비교하여, 치료 전후의 시기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2명의 GCD2 이형접합자를 대상으로, PTK 전과 후의 시력과 대비감도를 측정하였다. 대비감도는 야간(3 cd/m2)과 주간(85 cd/m2) 조도에서 눈부심 0, 1, 2단계(glare [G]; G0, G1, G2), 공간주파수 1.5, 3, 6, 12, 18 cycles per degrees (cpd)에 대하여각각 검사하였다. 결과: 수술 후 1.5, 3 cpd에서 야간과 주간 조도 시, G0-2의 모든 눈부심 단계에서 대비감도의 향상을 보였다(p<0.05). 6 cpd에서는야간 시 G1, 주간 시 G0-2의 눈부심 단계에서 대비감도의 향상이 있었다(p<0.05). 반면 12, 18 cpd에서는 야간, 주간 조도 시 G0-2의모든 눈부심 단계에서 수술 전후의 대비감도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 GCD2 환자에서, PTK를 통해 대비감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각막혼탁으로 저하된 GCD2 환자의 시기능이 PTK로 인해 뚜렷이개선됨을 대비감도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Purpose: Contrast sensitivity, the ability to distinguish the relative difference in luminance of an object from its surrounding or adjacent objects, is a useful measure of visual function. In granular corneal dystrophy type 2 (GCD2), opacity of the corneal stroma causes deterioration in visual function. We compared the contrast sensitivity of GCD2 patients before and after phototherapeutic keratectomy (PTK) to evaluate the perioperative visual function in thes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2 eyes of heterozygote GCD2 patients. The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PTK. The contrast sensitivity was measured in mesopic and photopic background luminances, with glare (G) levels of 0-2 (G0, G1, and G2, respectively) and spatial frequencies at 1.5, 3, 6, 12, and 18 cycles per degree (cpd). Results: The contrast sensitivity increased after PTK at 1.5 and 3 cpd in mesopic and photopic conditions with G0-2 glare (p < 0.05). At 6 cpd, the contrast sensitivity increased in the mesopic condition with G1 glare, and in the photopic condition with G0-2 glare (p < 0.05). However, there was no change in contrast sensitivity at any glare level at 12 and 18 cpd after PTK. Conclusions: In GCD2 patients, the contrast sensi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PTK. The vision of GCD2 patients, which is decreased due to corneal opacity, is improved after PTK.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