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新亞細亞 第29卷 第2號.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공외교 최전선, KBS World의 자원 혁신

전략적 부담 이론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경영 환경 변화 속에 위기를 겪고 있는 국제방송 KBS World의 경쟁력을 제고해 공공외교에 기여할 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업 경쟁력의 원천인 전략적 자원이 급격한 환경 변화와 함께 오히려 기업의 경쟁력을 저해하는 부정적 성격을 갖게 된 상황을 어떻게 극복할지에 대한 연구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행했다. 공공외교의 최전선에 있는 국제방송 KBS World가 카카오와의 제휴를 통해 <We K-POP>이라는 혁신적 프로그램을 만들어 채널 경쟁력을 높인 사례를 프로그램 핵심 관계자들에 대한 인터뷰와 관련 통계 등을 통해 분석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자원의 부정적 측면을 긍정적으로 전환 또는 최소화하는 전략으로서 아렌드(R. J. Arend)의 전략적 부담(strategic liabilities) 이론을 재구성해 연구 모형을 제시했다. 그 결과 KBS World가 제휴라는 협력적 접근을 통해 상황(context)을 변화시켜 채널의 경쟁력 제고와 재무적 성과 등 혁신 성과를 거뒀다는 사실을 검증했다. 더불어 이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제휴가 한 차례에 그친 한계도 논의해 보다 깊이 있는 실무적 함의를 제공했다. 아울러 이번 연구를 통해 국제 방송을 통한 한류가 공공외교적 측면에서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seeks to find ways to contribute to public diplomacy by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KBS World, the leading international broadcasting organization in South Korea. This study uses qualitative research on how to overcome a situation in which strategic resources, the source of corporate competitiveness, hinders corporate competitiveness along with rapid environmental changes. This study analyzes cases in which KBS World, which is at the forefront of public diplomacy, created an innovative program called “We K-POP” through a strategic alliance with Kakao to increase channel competitiveness. This study includes interviews with key program managers and analyzed related statistics. The research model is reconstructed using R. J. Arend's strategic liabilities theory as a strategy to positively convert or minimize negative aspects of resources.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KBS World has achieved innovative results such as improving channel competitiveness and financial performance by changing the context through a cooperative approach to partnership. Furthermore, the study also discusses why the strategic alliance was limited to one time, providing more in-depth prac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also helps us understand how much the Korean Wave through international broadcasting is contributing to public diplomac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사례 연구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