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Design Research Vol7, No. 2(통권 23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영주댐 수변공간 유휴지 공공자원으로써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how to Utilize the Yeongju Dam Waterfront Space as an Idle Public Resource: Creation of National Ecological Garden

DOI : 10.46248/kidrs.2022.2.193
  • 105

댐은 국가자원으로 생태계의 보호와 동시에 관광자원으로의 가치를 담고 있다. 영주에 위치한 영주댐은 4대강 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2019년 12월 공사에 착수하여 2016년 12월 본 댐을 준공하였다. 현재 환경부에서는 댐의 유지와 해체를 두고 갈등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댐 주변은 환경개선의 목적과 주변 경관에 따른 관광자원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댐 수위를 낮추면서 유휴지가 형성된 번계들 지역민들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댐의 존치에 대한 의견수렴을 통해 생태보전측면과 친환경 국가정원으로 조성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국내의 수변공간의 개발사례와 현지주민들의 댐 존치 유무를 통한 의견 수렴과 수질관리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생태계보호를 우선시하고 시민들이 원하는 자원으로써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정화경관습지조성, 비점오염저류시설조성, 친환경 식재조성으로 나누어 생태수변보전 벨트를 구축하여 국가생태정원을 제안하였다.

Dams are national resources that protect the ecosystem and contain the value of tourism resources. Yeongju Dam located in Yeongju started construction in December 2019 as part of the Four Rivers Maintenance Project and completed the main dam in December 2016. Currentl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in conflict over the maintenance and dismantling of the dam. The area around domestic dams is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with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tourism resources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landscape. This study intends to create an eco-friendly national garden in terms of ecological conservation by collecting opinions on the preservation of the dam based on the perception survey of local residents in the villages where idle land was formed while lowering the water level of the dam. As a research method, to prioritize the protection of the ecosystem and maximize its use as a resource desired by citizens through collecting opinions through domestic waterfront space development cases, local residents' opinions on whether or not dams are maintained or not, and interviews with water quality management experts, the purified landscape wetlands A national ecological garden was proposed by constructing an ecological waterside conservation belt by dividing it into creation, non-point pollution storage facility construction, and eco-friendly planting constructio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유휴지 활용 및 활성화 방안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