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상 문법(shape grammar) 규칙에 기반한 한화상석(漢畵像石) 테두리 장식 문양 활용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anwha Sangseok Border Decorative Patterns Based on the Rules of Shape Grammar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한국디자인리서치
- Vol7, No. 2(통권 23권)
- 2022.06
- 333 - 344 (12 pages)
한화상석(漢畫像石)의 테두리 장식 문양은 보통 띠 모양의 형식으로 도상(圖像) 가장자리에 새겨져 있으며 그림 화면의 액자 틀과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다. 테두리 장식 문양의 존재는 한화상석의 장식적 수요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한화상석의 주요 도안과 조화를 이루어 그림 화면에 예술성을 부여한다. 한화상석의 테두리 장식 문양은 자체적으로 지닌 독특한 표현방식을 통해 민족적 특징이 매우 뚜렷한 예술 요소를 형성하고 뛰어난 혁신과 사용가치를 구현한다. 본 연구는 한화상석 테두리 장식 문양의 응용을 연구 주제로 하여 테두리 장식 문양을 문양 유형별로 정리하고, 미학적 및 인문학적 관점에서 한화상석 테두리 장식 문양의 미학적 의의를 탐구한다. 이와 함께 테두리 장식 문양 요소를 추출하여 형상 문법(shape grammar) 체계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문양을 창작하고 일용품 디자인에 응용한다. 형상 문법의 규칙을 활용하여 생성한 장식 문양은 한화상석 테두리 장식 문양의 예술 요소를 살리면서도 원래 장식 문양의 전형적인 틀에 지나치게 얽매이지 않는다. 본 연구는 형상 문법 체계와 한화상석 테두리 장식 문양의 결합을 통해 민족적 특색을 지닌 장식 문양과 현대디자인의 접점을 모색함으로써 장식 문양의 민족성과 재디자인 가능성을 더 효과적으로 구현한다.
The border decorative patterns of Hanwha Sangseok is usually engraved on the edge of the painting in the form of a band, and it can be said to be the same as the frame of the picture screen. The existence of the border decorative patterns meets the decorative demand of Hanwha Sangseok and at the same time harmonizes with the main designs of Hanwha Sangseok to give artistry to the picture screen. The decorative patterns of Hanwha Sangseok forms an art element with very distinct ethnic characteristics through its own unique expression method and implements excellent innovation and value in use. With the application of Hanwha Sangseok border decoration patterns as the research topic, this paper organizes border decoration patterns by pattern type and explores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Hanwha Sangseok border decoration patterns from an aesthetic and humanistic perspective. In addition, by extracting the elements of the border decoration pattern, a new pattern is created and applied to the design of daily necessities through combination with the shape grammar system. The decorative pattern created using the rules of shape grammar is not too bound by the typical frame of the original decorative pattern while making use of the art elements of the Hanwha Sangseok border decorative pattern. This study more effectively implements the ethnicity and redesign potential of decorative patterns by seeking a contact point between decorative patterns with ethnic characteristics and modern design through the combination of shape grammar systems and Hanwha Sangseok border decorative pattern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한화상석 테두리 장식 문양 분석
4. 테두리 장식 문양의 활용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