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Internalized Shame on Social Anxiet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Self-compassion

  • 534
캡처.JPG

이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자기자비 및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상담 및 심리치료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 후 SPSS 20과 AMOS 20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자기자비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한최종모형은 적합하였다. 모형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거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자기자비를 거치는 경로는 유의하였다. 부트스트래핑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역시 유의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dual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sham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elf-compassion, and social anxiety, and toprovide a basis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Data from 290 college students wereanalyzed using SPSS 20 and AMOS 20. As a result, the final model in which maladaptive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and self-compassion acted as mediating variables in the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was adequate. The path of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as not significant, but the path of self-compassionwas significant. As a result of bootstrapp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between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and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of maladaptive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and self-compassion was also significant. Based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