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대학4-H 활동 프로그램의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 모색을 목적으로 조사 연구를 적용하였다. 조사 대상은 모집단인 전체 회원 1,181명 중 대학별로 할당하여 무선으로 100명을 선정하였으며, 온라인 Google 설문으로 18문항을 구성하여 98명을 회수한 후 χ2와 t 검증 등의 통계 방법을 적용하였다. 대학4-H 활동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에서 활동 기간 및 경력은 1년 이하가 가장 많았으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가입 동기는 남학생이 선배나 지인의 권유로, 여학생은 다양한 학습활동에 참여하기 위해서가 가장 많았으며 서로 차이가 있었다. 4-H 운동 교육 수련 경험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많았고, 교육은 주로 학교 내 동아리가 주관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회원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농업 및 청년농업인정책의 이해와 활용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월 1회, 1박 2일 또는 당일교육(8시간 이내)으로 실시할 것을 요구하였으며, 문화체험 또는 견학, 봉사활동, 취미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 등의 내용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임원교육 프로그램도 남학생은 4-H회 조직관리 및 운영 능력 배양, 여학생은 미래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위한 청년농업인4-H의 역할과 실천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실시할 것을 요구하여 서로 차이가 있었으며, 미래설계 및 취・창업 전략, 청년농업인 및 4-H 지원 정책 소개 등의 내용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따라서 대학4-H 활동 프로그램 개발은 학생4-H 및 청년농업인4-H와 연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대학4-H 회원을 위한 이원화된 활동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 및 운영, 지속가능한 농업・농촌과 식량주권 실현 활동 구현, 지역사회와 조직의 변화를 이끄는 프로젝트 운영, 청년 리더로서의 역량 개발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등을 고려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개발 프로그램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생4-H 및 청년농업인4-H와의 위계적 연계, 4-H 전문가와 교육 전문가의 양성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program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needs of the university 4-H activity program, and a research study applied. For the study, 100 people were selected by a random sampling method, and 18 questions were composed using the online Google survey method, and 98 people were collected, and then χ2 and t-test were applied. I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University 4-H activity program, the most active period and experience were less than 1 year,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y gender. There were more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with 4-H athletic training experience, and education was mainly organized by clubs within the school, and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For the membership education program, it was requested to be conducted once a month, for two days and one night or for one day (within 8 hour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griculture and youth farmer policies and seeking ways to utilize them. There were many requests for content such as hobbies and recreational activities. The executive education program also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hat male students were require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manage and operate 4-H sessions, and female students were required to pursue the role and action plan of 4-H youth agriculture for future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d there were requests for future design, employment and start-up strategies, and introduction of youth farmers and 4-H support polic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it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rograms in connection with the 4-H students and 4-H youth farmers,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dual activity programs for university 4-H members, and the implementation of activities to realize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nd food sovereignty, the operation of projects that lead to changes in local communities and organizations, an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mpetency development activity programs as youth leaders. And in order to activate the development program operation, hierarchical linkage with 4-H students and 4-H youth farmers, and training 4-H experts and education experts should be made.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대학4-H 활동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요구
Ⅳ. 대학4-H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