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지질자원기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바탕으로 지질자원기술에 대한 국민 인식 제고 방안을 논의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0년 1월 1일부터 2022년 4월 14일까지 54개 언론사를 대상으로 언론 기사 제목과 본문에 ‘지질자원기술’이 포함된 5,044건의 기사를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빅데이터 분석을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소 중심, 미국·중국·일본 중심, 포항시 지진, 연구원 원장 중심으로 주제어가 구성되어 있었으며, 중요 주제어는 지질, 산업, 광물개발, 환경, 에너지, 원자력, 지하수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픽 분석 결과, 토픽들은 개별적으로 위치하지 않고 전문가, 환경,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상호 연계되어 있고, 미래, 산업, 글로벌 토픽 등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질자원기술의 국민 인식 제고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ocial perception on geoscience using a big data analysis and to propose a way to enhance people’s perception on geoscience. For this, 5,044 media articles including geoscience produced by 54 media companies from January 1, 2010 to April 14, 2022. were analyzed. Big data analyses were applied.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Media articles consist of key words of research institute, some countries of America, China and Japan, City of Pohang, CEO of KIGAM. And geology, industry, development of mineral resources, environment, energy, nuclear power, and groundwater are highlighted as key words. Also, it is confirmed that topics related to geoscience such as expert, environment and research institute are not individually isolated, but interconnected and linked to topics in the center of future, industry, and global. Based on this result, ways to enhance people’s perception on geoscience were discussed.
1. 연구 목적
2. 지질자원기술 키워드에 대한 논의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논 의
사 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