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21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공부문의 HRD 이슈 탐색과 분석

  • 194

공공부문 HRD 방향과 전략 수립을 위한 HRD 이슈에 대해 HRD 전문가 10명에게 3차례의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부문 HRD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과 개인-부서-조직 성과 향상과 관련된 HRD 주요 이슈를 탐색하였다. 이 결과를 종합하여 공공부문의 HRD 환경 요인을 기술적 환경, 사회적 환경, 정책적 환경, 업무/HR 환경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HRD 이슈는 콘텐츠와 매체/방법 측면으로 도출하였다. HRD 환경 요인에서는, 기술적 환경의 경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언택트’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빅데이터’가, 사회적 환경의 경우 ‘MZ세대의 부상’과 ‘고령화’가, 정책적 환경의 경우 ‘정책고객의 다양화’가, 업무/HR 환경의 경우 ‘협업 증가’가 공공부문의 HRD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있어 전문가들의 이견이 거의 없었다. 이슈의 콘텐츠 관련 10개 항목 중 ‘소통’은 수렴도 0으로 전문가들의 평가가 가장 일관적이었는데 평균은 8.9점이다. 추가로, 전문가들의 평가가 비교적 일관적인 항목으로는 ‘디지털 리터러시-도구(평균 9.7점)’, ‘갈등관리(평균 8.8점)’ ,‘리더십(평균 9.7점)’, ‘조직문화(평균 9.6점)’였다. 공공 HRD 이슈의 매체/방법 관련 14개 항목 중에서는, ‘에듀테크-AI/큐레이션(평균 8.6점)’ 과 ‘코칭/멘토링(평균 9.0점)’ 이 수렴도 0, 합치도 1로, 전문가들이 가장 일관성 있게 필요하다고 보는 항목이다. 또한 공공 HRD 효과성과 관련된 개인 성과-팀 성과-조직 성과 향상을 위해 고려해야 할 이슈의 우선순위를 파악한 결과 개인성과는 ‘디지털리터리시-도구’였고, 팀 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팀워크/팀빌딩’이었다. 조직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러닝플랫폼’과 ‘조직문화’였다.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