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21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공부문의 HRD 이슈 탐색과 분석

공공부문 HRD 방향과 전략 수립을 위한 HRD 이슈에 대해 HRD 전문가 10명에게 3차례의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부문 HRD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과 개인-부서-조직 성과 향상과 관련된 HRD 주요 이슈를 탐색하였다. 이 결과를 종합하여 공공부문의 HRD 환경 요인을 기술적 환경, 사회적 환경, 정책적 환경, 업무/HR 환경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HRD 이슈는 콘텐츠와 매체/방법 측면으로 도출하였다. HRD 환경 요인에서는, 기술적 환경의 경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언택트’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빅데이터’가, 사회적 환경의 경우 ‘MZ세대의 부상’과 ‘고령화’가, 정책적 환경의 경우 ‘정책고객의 다양화’가, 업무/HR 환경의 경우 ‘협업 증가’가 공공부문의 HRD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있어 전문가들의 이견이 거의 없었다. 이슈의 콘텐츠 관련 10개 항목 중 ‘소통’은 수렴도 0으로 전문가들의 평가가 가장 일관적이었는데 평균은 8.9점이다. 추가로, 전문가들의 평가가 비교적 일관적인 항목으로는 ‘디지털 리터러시-도구(평균 9.7점)’, ‘갈등관리(평균 8.8점)’ ,‘리더십(평균 9.7점)’, ‘조직문화(평균 9.6점)’였다. 공공 HRD 이슈의 매체/방법 관련 14개 항목 중에서는, ‘에듀테크-AI/큐레이션(평균 8.6점)’ 과 ‘코칭/멘토링(평균 9.0점)’ 이 수렴도 0, 합치도 1로, 전문가들이 가장 일관성 있게 필요하다고 보는 항목이다. 또한 공공 HRD 효과성과 관련된 개인 성과-팀 성과-조직 성과 향상을 위해 고려해야 할 이슈의 우선순위를 파악한 결과 개인성과는 ‘디지털리터리시-도구’였고, 팀 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팀워크/팀빌딩’이었다. 조직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러닝플랫폼’과 ‘조직문화’였다.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