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다층선형모형을 활용한 교사효능감 영향요인 분석

Multi-Leve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eacher Efficacy

  • 4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3호.jpg

목적 본 연구는 다층선형모형을 활용하여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요인과 학교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교육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2014」 초등학교 자료에서 학교조사지(250개교), 교사용설문지(6,060명)에 대한 2수준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와 HLM 8.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 배경요인에서는 직위, 담임교사 여부, 성별, 학력, 경력은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배경요인에서는 기본적교육활동비 예산 비율이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과정요인에서는 학교교육 목표 반영 정도, 교내외 교육활동 연구모임 참여, 교육활동 연수참여 시간, 수업공개 횟수, 수업 및 수업준비 시간이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 과정요인에서는 동료교사에 대한 긍정적 인식, 교육활동 모임의활성화 정도, 동료교사와의 협력 정도, 동료와의 전문적 대화 정도는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사참여에 대한 학교장의관심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해 학교에서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학교차원에서의 다양한 노력은 수업 개선 및 학교 변화를 이루는데 기여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of teachers and schools for teacher efficacy using the muti-level analysis method. Methods In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data from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School Education Status and Level Analysis Study 2014’ were used. A two-stage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on 250 school questionnaires and 6,060 teacher questionnaires in the data. Results First, In teacher background factors, it was found that position, homeroom teacher statu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Second, In school background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the budget for basic educational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Third, In teacher process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reflection of school education goal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internal and external learning group of education, and spending time in class for teaching, the number of open classes, and preparing time for teach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iency. Fourth, in the school process factors, positive perceptions of fellow teachers, the degree of meetings for educational activities, the degree of cooperation with fellow teachers, and the degree of professional conversation with colleague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ienc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principal's interest in teacher participation had a negative effect. Conclusions These research results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what efforts schools should make to improve teacher efficacy. Various efforts in schools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changes in school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