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학술저널

대학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Cooperative Self-Efficacy in Impact of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in Untact Class

간행물 정보
  • 이용수 55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3호.jpg

키워드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대학생들이 인식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에미치는 영향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남 G시에 소재한 대학생 6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단순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외생변인으로서 자기조절학습, 내생변인으로서 학업기초능력과 융합역량을 선정하였다. 결과 학습자 간 상호작용, 교수-학생 상호작용, 협력적 자기효능감,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 변수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고,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교수-학생 상호작용,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대학생의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변수로 유의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수업 참여도와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교수-학습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지원 체계가 마련되어야 하며 또한 학습자들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cooperative self-efficacy’s mediating effect in impact of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in untact class.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question investigation of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cooperative self-efficacy,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in untact class has done. The subject were 636 university student at G university in gyeong sang nam do. To measure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cooperative self-efficacy,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measurement tool was made existing tool. On this basis, research materal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1 for window program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α verification,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olerance, Variance Inflation Factor(VIF), Correlation coefficient, mediator effect verific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cooperative self-efficacy effected on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in untact class positively. Second, cooperative self-efficacy had part mediator effect in relation of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in untact class. Conclusions This study had meaning to analyze mediating effect cooperative self-efficacy in relation of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in untact class. On this study, our socity will have to devise various way to reinforce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cooperative self-efficacy for university student’ s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s impro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