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지금까지 천안지역에서 이루어진 문화재 조사 현황을 정리해 보고, 각 시대별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보존 및 활용방안을 모색해 보 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천안에서의 유적조사는 1963년 두정리유적을 시작으로, 목천토성, 사 산성, 청당동유적, 위례산성 등이 차례로 발굴되었다. 1990년대 이후부 터는 산업단지와 대규모의 택지개발이 이루어지면서 백석동, 두정동, 용원리, 불당동, 용곡동, 신방・통정동, 백석동 고재미골, 삼룡동, 정촌리 유적 등이 조사되었으며, 직산 위례산성, 봉선 홍경사지, 천흥사지, 동 성산성 등 학술조사도 함께 이루어져 천안의 역사・문화적 정체성과 위 상을 확립할 수 있는 자료들이 축적되었다. 시대별 특징은 청동기시대의 경우 남한지역의 최대 규모 취락인 백석 동유적으로 대표된다. 백석동유적은 노태산을 중심으로 서쪽에는 취락 이 입지해 있고, 동쪽은 무덤이 위치해 있는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노태산에서는 청동기시대 유구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사 람과 신의 중간지대로 제사공간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 향 후 이 지역 개발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원삼국시기는 곡교천 주변의 청당동유적을 중심으로 한 주구토광묘 유적들과 정촌리유적으로 대표된다. 주구토광묘 유적들은 마한의 목지 국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정촌리유적 산 정상부 환호유구는 삼 한시기 제사구역인 소도일 가능성이 높다. 삼국시대는 백제 초도 직산 위례산성으로 대표된다. 그동안 성벽의 축조시기가 통일신라시기로 확 인되어 논란이 제기되었으나, 2016년 위례산성 내부 우물터에서 백제 시대 목곽고가 발견되어 이러한 논란을 종식시킬 수 있게 되었다. 향후 안성천 주변 원삼국・백제시대 유적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가 이루어진 다면 직산 백제 초도설은 언젠가 증명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고려시대의 천안은 태조 왕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려는 후백제 와의 전쟁에서 천안을 전초기지로 활용하였고, 천안이란 지명 역시 당 시에 처음 사용되었다. 천안에는 지금도 태조 왕건과 관련된 지명과 설 화가 많이 남아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홍경사지와 천흥사지의 경우 조사가 진행되고 있어 그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천안의 문화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창조적이고 생산 적인 방안을 찾는 작업이 우선되어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는 학술 발 굴조사의 확대 및 지속적인 추진이 필요하다. 두 번째는 천안박물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역 문화유산을 홍보하고 보존해야 한다. 세 번 째는 시민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끊임없이 개발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시민들은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며, 천안 역시 역사문화 도시로 새롭게 도 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mmariz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heritage surveys conducted in Cheonan area so far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ra to find ways to preserve and utilize them in the future. The investigation of the ruins in Cheonan began in the 1960s, and since the 1990s, industrial complexes and large-scale housing sites have been developed, and a number of ruins have been investigated. In addition, academic surveys were conducted together to accumulate data that can establis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dentity and status of Cheonan. In order to actively utilize Cheonan’s cultural heritage, finding creative and productive ways should be prioritized. To this end, the first is the expansion of academic excavation surveys and continuous promotion. Second, the Cheonan Museum should be actively utilized to promote and preserve local cultural heritage.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develop ideas for citizens to participate together. Through this, citizens will have an opportunity to take an interest and pride in local cultural heritage, and Cheonan will also become a new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Ⅰ. 머리말
Ⅱ. 유적 조사 현황
Ⅲ. 시대별 특징
Ⅳ. 문화자원 활용을 위한 몇 가지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