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렌즈 원리를 활용한 글쓰기 지도 방안

Teaching Method of Writing using the Lens Principle: Focusing on the Outline Area

  • 67
문화와 융합 제44권 6호.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이제까지 렌즈식 에세이와 관련된 연구는 이론 위주로 이루어져 왔다. 실제 글쓰기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의견을청취하거나 이 종류의 글에 최적화한 개요 쓰기 관련 등에 대한 지도 전략은 매우 부족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 반의 시사 글쓰기 시간에 효과적인 ‘렌즈식 비유’를 작성시키는 기법을 구안하고 그 관련 수업을 지도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과정에서 세 가지 차원에 주목하였다. 첫째, 기존에 알려져 온 ‘A:B’ 렌즈 구도를 ‘A=a’ 구도로 단순화하고, 그에 따라 작성 가능한 1줄 개요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1줄개요를 학급의 개요 블록으로 구성하는 지도 전략도 언급하였다. 그리고 대상 텍스트와 렌즈 텍스트 사이의 리듬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둘째, 더욱 긴 호흡의 렌즈 글쓰기를 가능하게 하는 확장형 개요표 구성 기법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특히 확장형 개요를 통해 다섯 단락 글쓰기 환경을 조성하는 맥락을 펴 보였고 실제 글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안정적 렌즈 글쓰기를 수행하는 경로를 예시하였다. 셋째, 학습자들의 설문 의견을 분석하였다. 렌즈 글쓰기의 비유 원리는 창의성이 중시되는 신입생 반 글쓰기에 매우 주효할 수 있다. 반면 신입생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요소도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때문에 렌즈적 비유 원리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이고 친근한 설명이 제시돼야 하고 그에 특화된 개요 작성 전략에 관한 연구는 계속돼야 할 필요가 있다.

So far, research related to lens-type essays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ory. There were not many cases where the opinions of learners who actually participated in writing were heard. And the guidance strategy for writing an outline optimized for this type of writing was not very good ei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technique for writing an effective ‘lens-type analogy’ in the current affairs writing class of the college freshman class and to suggest a method for guiding the related class. Three dimensions were noted in the research process. First, the previously known ‘A:B’ lens composition was simplified to ‘A=a’ composition, and a method of producing a one-line outline that could be written was suggested. In this process, the instructional strategy of composing a one-line outline into a class outline block was also mentioned. And I presented a method to adjust the rhythm between the target text and the lens text. Second, a technique for constructing an extended outline table that enables longer breathing lens writing was also mentioned. In particular, the context of creating a five-paragraph writing environment was presented through an extended outline. And by presenting an actual writing case, a more stable lens writing path was exemplified. Third, the opinions of learners through questionnaire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answered that the analogy principle of lens writing is very effective for writing in the freshman class where creativity is importan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elements that were difficult for new students to understand easily. Therefore, a more specific and friendly explanation of the lenticular analogy principle should be presented. An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research on the outline writing strategy specialized for it.

1. 서론

2. 렌즈식 에세이 쓰기 수업과 개요 지도 방안

3. 설문 분석

4.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