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프랑스문화연구 제53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육과정의 방향성 연구

Étude sur l’orientation des instructions officielles pour le français aux lycées en Corée: centrée sur la compétence en lecture

DOI : 10.18022/acfco.2022.53.1.007
  • 36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육의 범위와 교수⋅학습 방법, 그리고 평가 기준 등을 규정하고 있는 2015 개정 프랑스어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바탕으로 차기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제안해보려는 시도이다.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프랑스어I 교과를 통해 학생들에게 길러주고자 하는 역 량은 프랑스어권 사람들과 프랑스어로 의사소통 하는 능력이다. 우리나라 외국어 교육의 방향성에 발맞추어 언어의 4가지 기능, 즉 ‘듣기⋅말하기⋅읽기⋅쓰기’ 능 력을 고루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이다. 너무나도 당연해 보이는 이러 한 목표에 비해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학생들의 프랑스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기 대하기는커녕 교육현장을 고려하지 않은 비현실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비난의 목소 리가 높다. 이러한 비판의 원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 본고의 출발이다. 우리는 그 원인들 중 하나로 ‘듣기ᆞ말하기ᆞ읽기ᆞ쓰기’의 언어의 4가지 기능 을 고루 키워주는 것을 목표로 하는 지금의 교육과정에 주목하였다. Z세대인 학생 들과 모바일 환경으로 바뀐 오늘날의 새로운 교육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교육과정 으로는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은 요원하고, 교육과정과 현장의 괴리는 점점 더 커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Z세대의 특성과 프랑스어 교육환경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향후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육과정은 언어의 4가지 기 능 중에서도 ‘읽기’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읽기에 방점을 둔 교육과정에서는 문법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이고, 이 점을 고려하여 문법 항목 재구성 차원에서 관계대명사를 새롭게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 였다.

Le but de cette étude est d’examiner les problèmes des instructions officielles remaniées en 2015 pour le français aux lycées généraux en Corée, afin de suggérer sa nouvelle orientation. Les instructions actuelles du français I visent à rendre les apprenants capables de communiquer en français avec des francophones. Autrement dit, il s’agit de développer les quatre fonctions du langage, à savoir «écouter, parler, lire et écrire», conformément à l’orientation de l’enseignement des langues étrangères en Corée. Mais, contrairement à cet objectif, beaucoup d’enseignants sur le terrain critiquent ces instructions parce qu’elles ne tiennent pas compte la réalité de l’enseignement du français. Le point de départ de cette étude est donc d’analyser les causes de ces critiques. Comme l’une des raisons, nous prêtons attention à l’objectif des instructions actuelles, qui visent à développer les quatre compétences linguistiques de «écouter, parler, lire et écrire». Avec les instructions qui ne prennent pas en compte les apprenants de la génération Z et le nouvel environnement éducatif d’aujourd’hui qui s’est transformé en un environnement de communication mobile, il est difficile d’améliorer les compétences de communication des étudiants : l’écart entre les instructions et le terrain d’éducation se creuse inévitablement. Par conséquent, cette étude propose de réviser les instructions actuelle pour se concentrer sur l’amélioration de la compétence en lecture parmi les quatre fonctions du langage. Si les instructions sont axées sur l’amélioration de la compétence en lecture, sa structure globale et son système de contenu doivent être modifiés tous ensemble. À cette fin, cette étude met l’accent sur l’inclusion des pronoms relatifs dans la portée de la grammaire pour l’éducation centrée sur la lecture.

1. 들어가기

2. 2015 개정 프랑스어Ⅰ 교육과정

3.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육환경

4. 차기 교육과정을 위한 제언

5. 나오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