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프랑스문화연구 제53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발자크와 귀스도르프, 로망티즘 인식론, 근대성의 의식 구조 (II)

Balzac et Gusdorf, épistémologie du romantisme, structure de la conscience de la modernité (II): Une trans-lecture sur La Comédie humaine de Balzac et Les Fondements du savoir romantique de Georges Gusdorf

본고는 발자크와 귀스도르프 (I) 의 연속 연구로서, 논문의 분량과 지면 등의 문제로 분할하여 뒤로 넘겼던 그 후반부의 문제들을 연이어 성찰할 것이다. 본래 발자크와 귀스도르프, 전체 연구는 크게 보면 세 가지 목표를 지향하면서 진행된 것이었다. 첫째는 발자크 인간희극의 이원성을 극복하려는 통합적 독서 모색과 그 방법론적 전거로서 귀스도르프의 낭만학의 토대들과의 ‘트랜스-독서’를 시도하 는 것이었으며, 둘째는 후자의 중심 주제를 ‘통합적 로망티즘 인식론’으로 포착하면 서 그런 ‘트랜스-로망티즘’ 관점을 발자크 문학세계와 접합시켜 보는 것이었다. 그 과정에서 발자크와귀스도르프(I)에서는이두번째토픽의중간부분까지수행 하였으며, 그 나머지 절반 부분과 더불어 세 번째 목표인 ‘근대성의 제양상과 의식 구조’의 문제를 본고인 발자크와 귀스도르프 (II) 에서 주요 주제로서 탐색하게 될 것이다. 그 중 전자 즉 ‘트랜스-로망티즘’의 나머지 절반 부분과 관련해서, 발 자크와 귀스도르프 (I) 에서는 ‘로망티즘과 통합적 인식론’의 문제를 미시적으로 논 구했다면,본고 발자크와귀스도르프(II)에서는그것을주로세가지관점-<‘트 랜스-유체/유동성’의 의미장, ‘로망티즘과 통합적 인식론’의 문제와 ‘로맨틱 통합의 학(la trans-médecine romantique)’, ‘발자크 인간학과 호모 로만티쿠스’> -에서 사유해볼 것이다. 한편 후자 즉 발자크와 귀스도르프, 전체의 대주제로서 '근대성의 제양상과 의식 구조’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가 본고의 주요 부분을 구성할 것 이다. 물론 이 주요 주제에 관해서는 발자크와 귀스도르프 (I) 에서 개괄적으로, 특히 그 후반부에서 ‘로망티즘과 모더니티’의 관점에서 상당 부분 성찰해 보았지만, 본고에서는 ‘발자크 문학과 모더니티’의 관점에서 이 근대성(Modernité)의 문제들 을 한층 더 심층적으로, 정밀하며 새로운 방식으로 논구하며 사유해볼 것이다. 그 런 관점은, 지금까지 ‘인간희극과 모더니티’의 문제를 성찰해 보면서, 무엇보다 단순히 ‘근대성’이라는 개념 만으로는 발자크 문학의 조망에 한계가 있음을 새삼 깨닫기 때문이다. 그래서 발자크와 귀스도르프 (I) 에서 이미 시도했듯이 모더니 티 개념을 더욱 하부 단위들- 발생적 근대성, 전통적 근대성, 계몽적 근대성, 낭만 적 근대성, 통합적 근대성, 사실적 근대성, 과학적 근대성 등 –로 세분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그런 작업을 토대로 발자크와 귀스도르프 (II) 에서는 더욱 다양하게 분기하며 심층적으로 작동하는 ‘근대성의 제양상’을 사유해 보게 될 것이 다. 그 중에서도 본고의 중심 주제로서 <근대성의 의식구조>나 <근대성의 ‘물질- 정신’ 분석> 등을성찰해볼것인바, 이런토픽들은곧발자크문학의다양한차원 들- 의미, 형식, 역사, 철학, 심리, 미학, 사회, 경제, 이념, 정치등–과연관되는 것임을 알게 된다. 그런 연계적 관점에서 역시 다양한 테마들- <낭만적 유물론, 낭만적 무의식과 초의식, 낭만파 파라심리학, 낭만적 아이러니, 근대적 욕망, 근대 적 페르소나, 경제적 유동성, 트랜스-폴리티카, 근대적 파라토피아> 등 –을 보게 될 것인데, 이들은 대개 새로운 개념이거나 표현으로서 모색해 보는 것이다. 그래 서 ‘복합적 근대성(Modernité complexe, ou Multi-modernité)’ 개념을 통하여 발 자크 문학과 그의 시대, 즉 포스트-대혁명기인 19세기 전반기 프랑스의 역사ᆞ문화적 리얼리티를 더욱 상세하게 분절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요컨대 본고에 서 시도해본 모더니티 문제에 관한 일면 새롭고 독창적인 사유, 즉 ‘복합적/통합적 근대성’으로 요약되는 그 성찰은, 주로 기존의 단일하고 평면적인 근대성 개념 만 으로는 발자크 담론의 풍요롭고 심원한 문학세계를 조명하기에 충분하지 못하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발상법이었다. 발자크와 인간희극, 이 엄청나고 가공할 문학체 는 곧 포스트-대혁명기인 19세기 전반기의 프랑스와 ‘서구적 모더니티의 태내적 형상화이며 문학적 등가체’로서, 바로 거기에 발자크 문학의 현재적 ‘트랜스-가치/ 의미’가 있으리라 생각해 본다. 따라서 그런 다차원적이며 세분화된 개념들에 의거 하여 근대성의 제문제들, 특히 ‘근대성의 의식구조’와 ‘사실주의와 낭만주의’의 소 설미학적 영역들, 그리고 ‘근대성의 물질-정신 분석’이나 ‘근대적 욕망’, ‘문화적 근 대성’과 ‘낭만적 유물론’ 등 다양한 토픽들을 발상하며 탐색해볼 수 있었다.

Ce travail, Balzac et Gusdorf (II) , est une étude continue de celui antérieur Balzac et Gusdorf (I) , et essaye de réfléchir sur la partie postérieure de Balzac et Gusdorf, (Intégral) . Elle sera donc focalisée, d’une part, sur ses topics successifs : ‘Trans-romantisme, trans-fluide/fluidité, trans-médecine romantique, homo romanticus ou trans-humain romantique’, etc. D’autre part, sur la problématique de la modernité, plus en détail sur ‘le romantisme et la modernité’. Concernant le trans-romantisme, notion néologique dérivant de Les Fondements de Gusdorf, qui est déjà assez étudié dans Balzac et Gusdorf (I) , il est un des topics majeurs de ce travail intégral qui vise à approfondir finalement une épistémologie romantique de la totalité et par là, à dévoiler une trans-structure de la pensée et de l’imagination de Balzac et Gusdorf. Et maintenant, on sait bien la fonction et le sens du motif du ‘fluide’ dans l’espace balzacien de La Comédie humaine et de plus la significaton du thème de la ‘fluidité’ aussi, ce qu’on veut nommer désormais ‘trans-fluide/fluidité’. En plus, on peut remarquer de nouveau l’importance d’une ‘trans-médecine romantique’, qui s’incarne par les personnages tels que Halperson ou Horace Bianchon unifiant et harmonisant les paradigmes traditionnels et scientifiques de la médecine. Ce qui fait fonder la notion de ‘homo romanticus’, lequel est une autre appellation latine de L’Homme romantique dont parle Gusdorf, ayant l’intention d’intégrer et transcender l’homme éclairé ou révolutionnaire, trop idéologique, au siècle des Lumières. Enfin un autre champ important du ‘trans-fluide/fluidité’ concernera la ‘parapsychologie romantique’ qui se fonde sur la ‘matérialité de la pensée-fluide’, une base de la philosophie balzacienne qu’on a appellé également ‘matérialisme romantique’. En outre il parait essentiel de saisir la portée potentielle du ‘fluide romantique’, lequel ne serait finalement d’autre qu’une ‘libido freudienne’, ce qui signifie une trans-structure visible de la fluidité romantique et de la psychanalyse moderne. D’autre part, un autre sujet majeur de ce travail se rapporte à la modernité, puisque le romantisme serait d’une certaine façon une expression de la modernité culturelle. Et dans ce travail successif de Balzac et Gusdorf (I) , où s’est déjà faite une typologie de la modernité, on a essayé de l’approfondir et en même temps la diversifier. Par conséquent, en partant du concept essentiel de la ‘modernité complexe, plurielle ou multi-modernité’, dont les sub-unités seraient telles que la ‘modernité originaire, classique, éclairée, romantique, réaliste, totalisante, scientifique, ou haute modernité et hyper-modernité’ etc., on a exploré les aspects divers et fondamentaux de la modernité romantique et balzacienne : <strucure de la conscience de la modernité, maté-psychanalyse de la modernité, désir moderne, romantisme et modernité, modernité culturelle, ambivalence de la modernité, paratopie et transtopie de la modernité>, etc. Il mérite ici de signaler par exemple l’ambivalence, positive et négative, de la modernité et sa corrélation avec l’esthétique- réalisme descriptif et réalisme critique -du roman balzacien. D’ailleurs concernant la maté-psychanalyse de la modernité, il y aurait une cohérence logique si l’on pense à l’intérêt de Balzac à la ‘trans-unité du matériel et du spirituel’ ou aux Rapports du physique et du moral de Cabanis. Enfin, en signalant d’autres topics majeurs- <fluidité économique, ironie romantique, idéologie moderne, trans-politica, roman moderne ou trans-discours, etc.> -de Balzac et Gusdorf (II) , on est aux confins de la clôture de ces travaux successifs de Balzac et Gusdorf, (Intégral) , dont la base était fondée sur des concepts-clés tels q

1. 들어가는 글

2. 로망티즘과 모더니티, ‘트랜스-유체/유동성’과 ‘트랜스-로망 티즘’, 로맨틱 통합의학과 호모 로만티쿠스

3. 근대성의 제양상, 복합적 근대성, 근대성의 의식구조, 문화적 근대성, 통합적 로망티즘

4. 근대성의 ‘물질-정신’ 분석, 낭만적 유물론, 경제적 유동성, 트랜스-폴리티카, ‘근대 로망’의 거대담론

5. 나오는 말 : 트랜스-로망시에, 발자키즘과 귀스도르피즘, 통합적ㆍ트랜스-로망티즘, 트랜스-모던/세계..,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