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여가복지경영연구 제3권 제1호.jpg
학술저널

노인의 교육 수준이 건강과 여가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Education Level on Health and Leisure Motivat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come

  • 193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과 여가 동기를 중심으로 교육 수준 및 소득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복지 정책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표본의 여가동기, 소득, 학력, 건강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휴식적 동기는 지적동기, 사회적동기, 유능적동기, 소득, 학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동기는 사회적동기, 유능적동기, 건강과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동기는 유능적동기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능적동기는 소득, 건강과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은 학력과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가 p<0.01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핵심변인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1)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핵심변수는 휴식적 동기, 학력, 소득으로 나타났다. 2)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 핵심변수는 휴식적 동기, 학력, 소득으로 나타났다. 3)주거 점유 형태에 따른 차이가 있는 핵심변수는 지적 동기, 유능적 동기, 건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설은 H-1. 교육수준은 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교육수준은 여가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소득은 교육수준과 건강 및 여가동기 사이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H-3(1). 소득은 교육수준과 건강 사이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H-3(2). 소득은 교육수준과 여가동기 사이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연구결과로 H-1은 채택되었으며, H-2는 부분 채택되었다. 그리고 H-3(1)은 채택되었으며, H-3(2)는 부분 채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and income, focusing on the health and leisure motivation of the elderly, and to present a desirable direction in welfare policy based on them.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correlation between leisure motivation, income, educational background and health in the survey sample are as follows: It has been shown that resting motivations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intellectual motivation, social motivation, competency motivation,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 It has been shown that intellectual motivation is correlated with social motivation, ability motivation, and health. Social motivation has been shown to be correlated with competent motivation. Competitive motivators a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income and health. Income has been shown to be correlated with education. And these results were significant in p<0.01. As a result of checking the differences in key variables according to socio-population characteristics, 1) Key variables with gender-specific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restful motivation, academic background and income(p<.001). 2) Key variables with age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restful motivat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p<.01). 3) Key variables that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housing occupancy were shown as intellectual motivation, competent motivation, and health(p<.05).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H-1. The level of education will have a significant health impact. H-2. The level of education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eisure motivation. H-3. Income will reg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level and health and leisure motivation. H-3(1). Income will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level and health. H-3 (2). Income will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level and leisure motiv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H-1 was adopted, and H-2 was partially adopted. And H-3(1) was adopted, and H-3(2) was partially adopt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