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독일에서는 ‘탈성장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 중이다. 탈성장 운동은 무제한의 성장에 기초한 ‘제국적 생활양식’의 극복과 사회적・생태적으로 정의로운 ‘연대적 생활양식’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이 목표에 이르기 위해서는 자본주의적 성장사회를 지금과 같은 방향으로 추동해 온 주체에 대한 반성적 고찰이 무엇보다 필수적이다. 자본주의적 성장사회의 출현은 특정한 남성적 주체화 방식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성장지향성과 업적지향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자율적인 남성적 주체라는 이상이 지배하는 가운데, 돌봄과 자연을 비롯한 모든 의존적인 활동들의 중요성은 무시되거나 보이지 않게 가려지고 있다. 오늘날 독일에서 돌봄이 남성과 여성 간에 분배되는 것이 아니라 이주 여성의 어깨 위로 떠넘겨짐으로써 ‘초국가적 돌봄 채굴주의’가 확산되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돌봄의 부족에 따른 사회적 재생산 위기가 남성의 돌봄 참여를 통한 젠더 관계의 민주화가 아니라, 지구적 차원에서의 새로운 위계적 젠더 관계의 확산으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돌보는 남성성’ 논의는 돌봄을 남성성 구성에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남성적 주체화 방식을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대안적 남성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탈성장 운동의 맥락에서 볼 때, 돌보는 남성성 논의는 인간과 자연에 대한 돌봄을 그 중심에 놓음으로써 제국적 생활양식과는 완전히 다른 형태의 사회적, 생태적 및 젠더적 재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출발점의 하나가 될 수 있다.
Today, the ‘degrowth movement’ is actively developing in Germany. This movement aims to overcome the ‘imperial mode of living’ based on unlimited growth and to shift to the ‘solidary mode of living’ which is socially and ecologically just. In order to reach this goal, it is essential above all to consider what has driven the capitalist growth society in the direction where it is now. This involves the acknowledgement that the emergence of the capitalist growth society is closely related to a specific masculine subjectifying mode. While the ideal of an autonomous masculine subject characterized by the orientation towards growth and achievement dominates, the importance of many activities concerning those in need of care and nature is ignored or hidden from view. It is not unrelated to the fact that in Germany today, a “transnational care extractivism” is spreading as care responsibilities are increasingly taken on by migrant women rather than being distributed between men and women. While the crisis of social reproduction caused by the care deficit is leading to a new hierarchical gender relationship at the global level, not the democratization of gender relations through male participation in care, the discussion of ‘caring masculinities’ tries to explore new alternative masculinities that can overcome the existing masculine subjectifying mode by including care in the construction of masculinities. Thus, in the context of the degrowth movement, the discussion of caring masculinities could be a starting point for enabling forms of social, ecological and gender reproduction that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imperial mode of living by placing care for humans and nature at the center.
Ⅰ. 머리말
Ⅱ. 독일에서의 탈성장 운동의 출현과 그 핵심적 문제의식
Ⅲ. 제국적 생활양식에 대한 반성적 고찰: 초국가적 돌봄 채굴주의를 넘어
Ⅳ. 남성 중심주의적 주체화 방식을 넘어: 돌보는 남성성으로의 전환
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