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몽골 양국 관계는 1990년도부터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미국과 몽골 정부는 몽골의 경제·사회 협력 증진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경제협력 분야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해외원조이며, 미국의 밀레니엄 챌린지 코퍼레이션 원조로 양국 간 긴밀한 경제협력 관계가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20년까지 30년간의 시계열자료를 기반으로 해외원조, 외국인직접투자, 수출, 수입, 인프라 관련 변수, 밀레니엄 챌린지 코퍼레이션 자금이 몽골 경제·사회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벡터오차수정모형으로 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모든 변수가 몽골 경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몽골 경제·사회가 주요 공여국의 자금지원 유입 강화 및 외국인직접투자 증진에 초점을 두는 경제성장 개발영역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경제순환 및 경제의 여러 분야에 정책의 파급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Bilateral rela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Mongolia have been active since 1990. In particular, the governments of the United States and Mongolia have made steady efforts to promote economic and social cooperation.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economic field is foreign aid, an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been upgraded to the next level thanks to the aid from the Millennium Challenge Corporati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based on data from 1990 to 2020 confirmed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ODA, Export, Import and Infra had a significant on Mongolia's economic growth using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Mongolia's economy and society are moving towards the realm of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with a focus on strengthening the inflow of financial aid from major donor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the business cycle and various resources are improving.
Ⅰ. 서론
Ⅱ. 몽골과 미국의 경제·사회 현황
Ⅲ. 선행연구 및 분석모형 설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