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범죄심리연구 제18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동영상 기반의 AI 생체심리 검사 장비를 이용한 자살척도 위험 장병과 건강한 일반인의 심리생리상태 비교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군 장병의 개인특성과 군 복무 중 자살척도 위험이 있는 장병과 건강한 일반인의 심리상태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군 복무 부적응과 자살에 관련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선행 연구된 ‘위험’ 장병 149명(자살생각, 자살의도, 자살시도), 건강한 장병 3,186명, 일반인 5,694명을 대상으로 ‘마음렌즈’(마인드아이 Version 2.0)을 이용하여 비교 측정하였다. 대부분의 군 복무 부적응 및 자살의 예방대책에 대한 장병을 특정 지울 수 있는 본격적인 선행연구는 별로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이번 연구에서는 동영상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AI) 생체심리 측정으로 자살척도가 위험으로 설문 조사된 장병과 건강한 일반인과의 심리생리 상태를 비교하고, 군 복무 부적응과 자살과 관련된 정책적 제언을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military soldiers at high risk of suicide during military service and the psychophysiological state of healthy ordinary people, and to make policy suggestions related to military maladjustment and suicid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was compared and measured using 'MAUMLENZ' (MINDEYE version 2.0), in 149 soldiers researched as the high risk suicide (suicide thought, suicide intention, suicide attempt) by the written questionnaire inspection, 3,186 healthy soldiers, and 5,694 healthy ordinary people. Few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pecify the most military maladjustments and suicide prevention countermeasure, and using the live video-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bio-psychological measurements, this study compare and analyze psychophysiological state (PPS) between healthy ordinary people and soldiers whose suicide index was surveyed as a dangerous scale, and makes policy suggestions related to military maladjustment and suicide prevention.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재료 및 방법

4.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