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세계환단학회.jpg
학술저널

일십당一十堂 이맥李陌의 생애 연구

The study of Mac Lee, Ilsibdang

이맥李陌(1455∼1528)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그는 단종 3년/세조 원년에 출생하여 조선 연산군(재위 1494∼1506), 중종(재위 1506∼1544) 연간에 정랑, 대사간 등을 거쳐 종2품 관직인 동지돈녕부사의 지위까지 올랐다. 본고는 이맥의 생애를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첫째, 유학자 이맥이다. 유학이지만, 좁혀서 성리학자이다. 성리학이 국가 이념이었던 조선조에서 종2품 관직까지 올랐던 문신이었다면, 본고는 그를 성리학자라고 부른다. 둘째, 관료인 이맥이다. 그는 늦은 나이에 과거에 합격하고 벼슬길에 들어섰으나 이후 사망할 때까지 관직을 떠나지 않았다. 다시 말하면 사망할 때까지 관직에 있었던 그는 뼛속 깊은 관료인이었다. 셋째, 역사가 이맥이다. 그는 춘추관 편수관으로서 사관을 지내기도 하였으나 민족사서 『태백일사』를 편찬한 역사가였다. 1) 유학자 이맥에 관해서 : 이맥은 유학자의 집안에서 태어나 성장했다. 그의 할아버지는 세종 시대에 좌의정을 지낸 용헌容軒 이원李原(1368~1429)인물이다. 그의 형은 예조· 호조· 병조참판을 지낸 청파靑坡 이륙李陸(1438∼1498)이다. 마흔이 넘은 나이에 문과에 급제한 이맥은 대간으로 활동하면서 조선조의 국시인 성리학을 지키기 위하 숭유억불을 주창했던 인물이다. 2) 관료인 이맥에 관해서 : 이맥은 생애의 대부분을 관료로 지냈다. 그러나 이맥은 불운과 굴욕, 그리고 영광이 점철된 관료인의 삶을 살았다. 그는 사헌부 장령으로 활동할 때, 연산군의 총희 ‘장녹수’ 장숙용을 탄핵하였다가 유배를 갈 정도로 대쪽 같은 선비의 품성을 지닌 사대부였다. 그는 관료생활 내내 무고와 모함, 질시에 시달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료인으로서 생을 마친 것을 보면 그의 인물됨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3) 역사가 이맥에 관해서 : 고성이씨 가문에는 민족사학 정기가 맥맥히 흐르는 가문이다. 고성이씨 가문에서 민족사학의 씨를 뿌린 인물은 7세 이존비李尊庇(1233∼1287)였다. 고성이씨 가문 중흥조와 같은 인물인 이존비는 손자요, 고려 말 공민왕시대에 수문화시중을 지낸 9세 행촌 이암李喦(1297∼1364)의 사표가 되었다. 이암은 민족사학의 튼튼한 줄기가 되어 『단군세기』라는 민족 사서를 남겼다. 그는 후손인 13세 이맥의 사표가 되었다. 이맥은 『태백일사』(8권)라는 민족 사서를 남겨 고성이씨는 물론 민족사학에 빛나는 꽃이 되었다.

Mac Lee(1455∼1528) is a government official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He was born in the third year of the king Danjong/the first year of the king Sejo. He was promoted to the Dongjidonnyongbusa, which was the second grade ranking government post after serving in various high-ranking offices, such as the Jeonglang, and the Daesagan during the era of Yeonsangun(1494∼1506) and the era of king Jungjong(1506∼1544). In this paper, I studied about Mac Lee's life, classifying 3 parts. The first part is Mac lee as a confucian scholar. Correctly speaking, he is a Neo-confucianist. In Joseon dynasty, the Neo-confucianism was the state ideology. Also, he was the high-ranking official. Therefore, I could consider him to a Neo-confucianist. The second part is Mac Lee as an official. He'd had the government post until he died. In other words, he was the official to the bone. The last part is Mac Lee as a historian. He was not only the Pyeonsugwan in Chunchugwan but also a writer who wrote Taebaeckilsa, a historical book. 1) Mac Lee as a confucian scholar : He grew in a confucian's family. His grandfather was Won Lee, Yongheon, the first vice-premier during the era of King Sejong. His brother was the Ryuck Lee, Chungpa, the minister of war. Mac Lee had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over 40-year-old, and became the Daegan. At that time, he asserted to revere Confucianism, not Buddism. 2) Mac Lee as an official : In most of his life, he was an government official. However, his life was a series of misfortune, indignity, and glory. However, he was a very determined and single-minded man. When he was the Jangryeong of Saheonbu, he was exiled because he had denounced Jangnocksu, the Yeonsangun's favorite mistress. Although he suffered from a slander and jealousy, he died as an official. 3) Mac Lee as a historian : There were the spirit of the national historiography in his family. The very first man, who had started studying the national historiography, was Jonbi Lee(1233~1287). He became a guiding star to Am Lee, Haengchon(1297∼1364), who was the Sumunhwasijung in the era of the king Gongmin of the Koryeo Dynasty. Am Lee became a strong stem of the national historiography and wrote Dangunsegi, a historical book. He become a guiding star of Mac Lee, who wrote Taebaeckilsa and finally became the beautiful flower of the national historiography as well as his family.

Ⅰ. 지금, 이맥은 무엇인가

Ⅱ. 이맥, 그 사람

Ⅲ. 관료인 이맥 (1) 연산군 시대의 이맥

Ⅳ. 유학자 이맥

Ⅴ. 관료인 이맥 (2) 중종 시대의 이맥

Ⅵ. 역사가 이맥과 『태백일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