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외국인 근로자들이 경험하는 취약성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Vulnerabilities within Migrant Workers - A Focus on the Vulnerabilities Experiences of Migrant Workers Influenced by the Positioning of Working and Dwelling Places -

DOI : 10.26426/KCS.2021.43.1.55
  • 164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의 주변화 된 위치성과 농촌 지역의 경제·사회적 맥락이 농업 부문에 종사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취약성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개 과정에서 중개인의 역할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들이 경험하는 취약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 근로자가 농장에 배치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고용 상의 법적 상태에 따라, 근로자의 노동 경쟁력에 따라 경험의 차이가 존재한다. 셋째, 근대적 계약 관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은 고용 과정에서 외국인 근로자들을 취약한 환경에 놓이게 만든다. 넷째, 농업 부문 외국인 근로자들은 물리적으로 고립되어 있는 근로 및 주거 환경과 열악한 교통 인프라로 인해 빈곤한 사회적 관계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거나 위험에 처했을 때 적절한 사회적 지원을 동원하지 못하게 하여 또 다른 취약성을 경험하도록 만든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marginalized positionalities and rural social contexts of migrant workers from the agricultural sector impact the creation of their experienced vulner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orkers’ vulnerabilities depend on different intermediaries and their roles in the process of placement. Second, each experience varies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status of employment and individuals’ competitiveness in the job market during the migration process. Thir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institutional employment system and substantial agricultural practices brings about a nominal contract, increasing the vulnerability of migrant workers in their working and dwelling places. Lastly, the weak social relations of workers among and beyond themselves are caused by remote working and dwelling places distant from downtown and poor mobile infrastructures; this alienation results in migrant workers facing other vulnerabilities due to a lack of constant social support.

1. 서 론

2.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3. 외국인 근로자들의 농촌 유입 과정

4. 노동 및 주거환경에서 경험하는 취약성

5. 나가기

로딩중